8개 카드사 4년간 2295만명 달해
강등기준 모호해 이용자들 혼란
강등기준 모호해 이용자들 혼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동안 카드사 현금서비스를 이용했다가 신용등급이 떨어진 이용자가 절반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들 스스로조차 신용등급 강등 기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아 현금서비스 이용과 신용등급 강등에 대한 금융소비자 혼란은 그만큼 클 수 밖에 없다.
신학용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카드사별 현금서비스 이용 신용등급 강등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부터 2014년 9월까지 최근 4년 동안 국내 8개 카드사를 통해 현금서비스를 이용한 회원 4626만명 가운데 46.6%에 이르는 2295만명이 카드사 내부 신용등급 강등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카드사 내부 신용등급 뿐만 아니라 신용조회회사 등 외부 신용평가기관에서 신용등급을 강등당한 회원도 1534만명(33.2%)에 달했다. 현금서비스는 비교적 소액의 긴급자금이 필요한 카드 고객이 단기로 이용하는 일종의 카드회사 단기 대출 서비스다.
카드사별로 보면 외환카드의 카드사 내부 신용등급 강등이 가장 많았다. 전체 현금서비스 이용 고객의 82.2%인 154만명이 신용등급 강등을 당했다. 현대카드(62.6%), 신한카드(62.1%)의 신용등급 강등 비율도 높았다.
현금서비스 이용이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지는 경향은 드러나지만, 어떤 경우에 신용등급이 강등되는지에 관한 명확한 규정은 카드사들 스스로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다. 얼마나(빈도) 얼만큼(액수)이용하는지는 물론, 연체 여부가 신용등급 강등 기준으로 작용하는지도 명확하지 않다. 신학용 의원실에 따르면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신한카드 등은 다양한 신용거래와 함께 종합적으로 현금서비스 이용 내역이 신용등급 조정에 반영된다는 정도의 모호한 기준만을 가지고 있었다. 그나마 우리카드, 구 하나에스케이(SK)카드, 구 외환카드, 케이비(KB)국민카드 등은 따로 내부규정조차 가지고 있지 않았다.
신학용의원실 관계자는 “금감원 조처에 따라 현금서비스 이용이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문구를 각 카드사가 대금 청구서에 적고 있지만, 현금서비스 이용 뒤 어떤 이유로 신용등급이 강등되는지 기준조차 없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