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은행 기준 1조3672억원 늘어
주택거래 호조·저금리 영향인 듯
주택거래 호조·저금리 영향인 듯
‘가계대출 비수기’인 1월에 은행의 가계대출이 사상 처음으로 늘어났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1월 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말 현재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562조3040억원으로 지난해 12월 말에 견줘 1조3672억원 늘었다. 관련 자료 집계가 시작된 2008년 이후 1월의 은행 가계대출이 전월에 비해 늘어난 것은 처음이다. 1월은 연말 상여금 지급, 주택거래 감소 등으로 통상 가계대출이 줄어드는 달이다.
실제 연도별 1월의 은행 가계대출 잔액 증감 기록을 보면 2008년 -8634억원, 2009년 -1조4070억원, 2010년 -6024억원, 2011년 -1조2841억원, 2012년 -2조7610억원, 2013년 -1조5984억원, 2014년 -2조1777억원 등으로 해마다 전년 12월에 견줘 줄었다.
올해 1월에 이례적으로 가계대출이 늘어난 것은 지난해 주택대출 규제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이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마이너스통장 등 기타대출은 1조1437억원 줄었지만, 주택담보대출은 2조5109억원 늘어나 1월 기준으로 2008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1월의 주택담보대출은 2009년(1조9862억원)과 2010년(1조318억원)에 1조원 이상 증가하기도 했지만,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는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왔다.
한은은 “원래 1월은 가계대출 잔액이 줄어드는 시기인 만큼 이례적인 증가라고 할 수 있다”며 “주택거래 호조와 저금리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가 예년 수준을 크게 넘어선 결과”라고 말했다. 1월 중 전국의 주택 매매 거래량은 7만9320건으로 국토교통부가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후 1월 거래량으로는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가계대출과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가 과거 1월에 비해선 높은 수준이지만, 가계대출이 다달이 6조원 이상씩 폭증했던 지난해 4분기(10~12월)와 비교하면 증가세가 다소 주춤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대출규제 완화 이후 크게 늘어난 대출 수요가 연말까지 많이 소진되면서, 지난해 4분기에 비해 1월에 수요가 줄어든 측면이 있는 것 같다”며 “연말 기준으로 고정금리 비율을 맞추기 위한 은행들의 (고정금리) 대출 확대 노력이 지난해 말에 집중된 것도 새해 들어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다소 꺾인 배경으로 꼽힌다”고 말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