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혁연대, 엘지상사의 범한판토스 인수 관련 질의서 보내
인수 이유·일감 몰아주기 등 공정거래법 규제 검토 여부 포함
인수 이유·일감 몰아주기 등 공정거래법 규제 검토 여부 포함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상조)는 24일 논평을 내어 엘지(LG) 지주회사 틀 바깥에 있는 엘지상사 등 주요 계열사들을 지주회사 체제 안으로 편입돼야 한다고 밝혔다.
경제개혁연대는 지난 1월 엘지상사가 범한판토스를 인수한 것과 관련해 비공개 질의서를 보냈다. 범한판토스는 엘지그룹의 방계회사로 고 구자현씨의 부인인 조원희 회장과 아들인 구본호 씨가 각각 50.86%, 46.1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지난 1월 엘지상사가 51%의 지분(약 3147억원)을, 구광모 상무 등 총수 일가가 31.1%의 지분을 취득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경제개혁연대는 범한판토스 인수 이유와 일감 몰아주기 등 공정거래법 규제 문제를 충분히 검토했는지를 물은 것이다. 엘지상사는 지주회사 체제 안의 계열사가 범한판토스를 인수하는 것이 지배구조 측면에서 바람직한 모습이겠지만 사업연관성과 인수여력 등을 감안해 엘지상사가 인수주체로 나섰고, 공정거래법상 일감 몰아주기 규제 및 향후 적용 가능성 등에 대해서도 검토했다고 답변했다.
경제개혁연대는 엘지상사의 반응에 대해 인수 자체에 대한 이의 제기는 어렵지만 엘지그룹이 국내 대기업집단 가운데 처음으로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는 등 그동안의 지배구조 개선 노력을 고려할 때 그 타당성에 의문이 남는다고 밝혔다. 아울러 2008년 설립된 지흥 등 일부 계열사가 지주회사 체제 바깥에 있으면서 엘지디스플레이로부터 일감을 받고 있어 회사기회 유용 사례로 지적받는 등 과거 노력이 훼손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결국 경제개혁연대는 “구본무 회장과 엘지그룹은 지주회사 전환 1호 그룹의 명성에 걸맞게, 지주회사 체제 밖의 계열사를 체제 안으로 편입하는 과감한 결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결론 지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