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명 중 3명이 정치권 관련 인물
행장과 같은 ‘서금회’ 출신 선임
다른 은행 임기만료 전 갈아타기도
행장과 같은 ‘서금회’ 출신 선임
다른 은행 임기만료 전 갈아타기도
예금보험공사가 대주주인 우리은행에 또 ‘정치금융’ 논란이 일고 있다. 금융권 경험이 전혀 없는 ‘정피아’(정치권 출신+마피아) 상임감사와 정치권의 지원 덕에 선임됐다는 의혹이 일었던 행장에 이어 이번엔 사외이사들이 도마에 올랐다. 특히 행장과 같은 사조직 회원이 사외이사에 선임되고, 정피아 출신 사외이사가 다른 금융회사에서 우리은행으로 ‘갈아탄’ 행태까지 드러나 정치금융 행태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우리은행은 최근 신임 사외이사 후보로 정한기 호서대 교양학부 초빙교수, 홍일화 여성신문 우먼앤피플 상임고문, 천혜숙 청주대 경제학과 교수, 고성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장 등 4명을 선임했다. 모두 학계나 여성계 출신들로 보이지만, 4명 중 3명이 정치권 출신이거나 정치권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엔에이치(NH) 투자증권 상무와 유진자산운용 사장 등을 거친 정한기 교수는 2012년 19대 총선 때 새누리당 비례대표 후보에 공천 신청을 했으며, 대선 때는 박근혜 후보 선거 캠프에서 활동했다. 정 교수는 특히 이광구 우리은행장과 같은 서금회(박근혜 대통령의 모교인 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 회원이다. 행장을 견제·감독하고 경영상 문제점은 없는지 감시하는 사외이사 자리에 행장과 같은 사조직 회원이 선임된 데 대해선 심각한 이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일화 고문은 1971년 국회의원 비서관으로 시작해 한나라당 부대변인, 중앙위원회 상임고문, 17대 대통령선거대책위 부위원장 등 당의 요직을 두루 맡았다. 그는 지난해 6월 산업은행 사외이사를 맡아 오는 6월 임기를 마치게 되나, 임기 종료 전 우리은행의 사외이사로 재빨리 갈아탔다. 천혜숙 교수의 경우 정치권 출신은 아니지만, 남편이 이승훈 청주시장(새누리당)이다.
우리은행은 앞서 지난해 금융권 경력이 없는 정수경 변호사를 은행 전반의 부실과 비리를 감시할 상임감사로 선임해 정피아 논란이 거세게 일었다. 정 감사는 2012년 총선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 순번을 받았다. 윤석헌 숭실대 교수는 “정부가 대주주인 은행이다 보니 정치금융이 더 기승을 부리는 것 같다”며 “이런 식의 인사는 임종룡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내세운 금융개혁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