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GDP 속보치’ 발표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전분기 대비 0.8% 성장에 그쳤다. 지난해 4분기의 ‘성장률 쇼크’(0.3%)에서는 일단 벗어났지만,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4분기째 성장률이 1%를 밑돌았다. 수출과 설비투자가 부진하고, 민간소비 회복세도 미약했던 탓이다. 올해 나머지 기간동안에도 1분기와 같은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연간 성장률은 3.1%가 된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보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은 지난해 4분기에 견줘 0.8% 늘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2분기(0.5%), 3분기(0.8%), 4분기(0.3%)에 이어 4개 분기째 ‘0%대 성장’에 머물렀다.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은 지난해 1분기에 견줘서는 2.4% 성장했다. 이는 2013년 1분기(2.1%) 이래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수출 부진이 두드러진다. 엘씨디(LCD), 자동차 등 재화 수출이 제자리걸음을 했고, 설비투자도 늘어나지 않았다. 민간소비 증가율도 0.6%에 불과해 전분기(0.5%)에 비해 개선 폭이 미미했다. 정부소비도 0.2% 증가에 그쳐 1분기 국내총생산 성장에 기여하지 못했다.
자동차 등 수출 제자리
민간소비 증가율도 0.6% 그쳐
주택분양 활기·주식시장 활황으로
건설투자는 7.5%↑…금융도 3.8%↑
한은 “낮은 성장률 아니다” 건설투자는 활발했다. 부동산시장이 활성화한데다, 지난해 4분기 급락(-7.8%)에 따른 기저효과까지 더해져 7.5%나 증가했다. 지식재산물투자도 연구개발(R&D)투자를 중심으로 2.6% 늘어 전분기(-0.5%)보다 개선됐다. 주택담보대출 및 주식거래 증가로 금융보험업도 3.8% 성장했다. 전반적으로 부동산·금융 등 자산시장의 반등이 올해 1분기 성장을 이끈 모습이다. 전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주택분양 시장의 활기와 부동산 거래 증가, 주식시장 활황 등이 1분기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지난해 4분기 성장률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0.8%는 낮은 성장률이 아니고, 한은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연간 3.1%) 궤도를 벗어나지 않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1%를 밑돌았지만,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주는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보다 3.6%(전년동기대비 6.2%)나 증가했다. 이는 2009년 2분기(4.6%) 이후 5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전승철 국장은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입가격이 수출가격보다 더 떨어져 교역조건이 개선된 결과”라며 “이렇게 되면 일정기간 생산한 생산물과 소득의 실질구매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분기별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민간소비 증가율도 0.6% 그쳐
주택분양 활기·주식시장 활황으로
건설투자는 7.5%↑…금융도 3.8%↑
한은 “낮은 성장률 아니다” 건설투자는 활발했다. 부동산시장이 활성화한데다, 지난해 4분기 급락(-7.8%)에 따른 기저효과까지 더해져 7.5%나 증가했다. 지식재산물투자도 연구개발(R&D)투자를 중심으로 2.6% 늘어 전분기(-0.5%)보다 개선됐다. 주택담보대출 및 주식거래 증가로 금융보험업도 3.8% 성장했다. 전반적으로 부동산·금융 등 자산시장의 반등이 올해 1분기 성장을 이끈 모습이다. 전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주택분양 시장의 활기와 부동산 거래 증가, 주식시장 활황 등이 1분기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지난해 4분기 성장률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0.8%는 낮은 성장률이 아니고, 한은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연간 3.1%) 궤도를 벗어나지 않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1%를 밑돌았지만,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주는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보다 3.6%(전년동기대비 6.2%)나 증가했다. 이는 2009년 2분기(4.6%) 이후 5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전승철 국장은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입가격이 수출가격보다 더 떨어져 교역조건이 개선된 결과”라며 “이렇게 되면 일정기간 생산한 생산물과 소득의 실질구매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