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들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청년 일자리를 3000개가량 늘릴 예정이다.
1일 기획재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기재부는 오는 7일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어 ‘공공기관 임금피크제 권고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 권고안에는 모든 공공기관은 전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임금피크제를 의무적으로 도입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긴다. 현재 공공기관의 임금피크제 도입 비율은 20.6%에 그친다.
임금피크제 도입 의무화 방침은 내년부터 공공기관의 정년이 2년 더 늘어나는 것을 고려한 조처다. 정년이 늘어나는 만큼 추가되는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임금피크제를 통해 덜고, 남는 재원은 신입 직원을 채용하는 데 쓰도록 한다는 취지다. 기재부 관계자는 “내년에 정년 연장 혜택을 받아 퇴직하지 않고 남는 인력이 3000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신규채용 한명당 고용보험기금에서 1080만원까지 임금을 지원하고, 임금피크제 도입 성과를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세종/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