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까지 300톤 규모로 건조
현장 수습 및 이동 장비 구비
현장 수습 및 이동 장비 구비
바다에서 유해화학물질 사고가 일어났을 때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방제선박이 처음으로 만들어진다.
기획재정부와 국민안전처는 오는 2017년까지 300톤 규모의 유해화학물질(HNS) 전용방제선을 만들 것이라고 11일 밝혔다. 유해화학물질은 불산, 암모니아 등 유해 액체물질과, 액화가스, 석회석, 비료 등 고체 위험물을 총망라한 것이다. 이번 사업에는 총 100억원이 투입된다.
국민안전처 자료를 보면, 우리 해역에서 발생한 유해화학물질 운반 선박 사고는 매년 11건 정도다. 석유화학제품과 원유류의 해상물동량은 연간 2억6752만톤으로 해양오염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
기재부는 “유해화학물질 전용 방제선박은 유증기와 독가스 등으로 뒤덮인 사고현장에서도 안전하게 수습작업을 펼칠 수 있는 장비와, 사고선박을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설비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김소연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