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구는 ‘로컬푸드 인증제’를 최근 도입했다. 인근 지역 농산물을 소비함으로써 구민들에겐 안전한 먹거리를, 지역 농가엔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허태정 유성구청장은 <한겨레>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농촌 생산자와 도시 소비자 간 연대를 통해 지역 먹거리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핵심적인 정책으로 ‘로컬푸드 활성화’를 추진중인데.
“로컬푸드를 매개로 근본적인 지역재생을 꾀하고자 한다. 먹는 것을 바꿈으로써 나와 내 이웃을 인지하고 생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더욱이 유성구는 대덕연구단지나 새도시 개발 등으로 도시민 비중이 높은데, 인근에 나주·논산 등 농가들이 있어 로컬푸드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이다. 로컬푸드 활성화가 인근 농촌지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얘기다. 구 안팎의 지역경제 선순환은 물론 지역사회 신뢰 증진을 도모하고 싶다.”
-로컬푸드 활성화 정책의 추진 방향은?
“보통 로컬푸드 우수 사례로 꼽히는 지역들은 주로 농가들이 정책의 중심이다. 유성구는 유통의 공공성을 찾아 생산자와 소비자를 ‘잘’ 연결하고자 한다. 지역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유통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 유성구에는 민간의 우수 사례들이 많다. 관은 이런 사례들이 더 많아지고, 더 많은 이들이 함께할 수 있도록 바탕을 다져야 한다. 지난해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구체적인 실행이 담긴 관련 조례도 제정했다.”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업들은 뭔가?
“직매장을 설치하고 인증제를 도입했다. 소비자들이 손쉽게 안전한 로컬푸드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얼마 전 론칭한 로컬푸드 브랜드 ‘바른 유성찬’도 이런 노력 중 하나다. ‘바른 유성찬’은 유성구가 인증한 친환경 로컬푸드 농산물에 붙이는 브랜드다. 우리는 특히 안전성에 중점을 뒀다. 보통 친환경 농산물로 인증받기 위해서는 250여가지 잔류농약 검사를 하는데 ‘바른 유성찬’은 320여가지 검사를 시행한다. 또한 생산자들과의 안전한 유통을 위해 가공지원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민간에서는 어떤 곳들이 활동하고 있나?
“품앗이로컬푸드㈜라는 사회적기업이 친환경 로컬푸드를 유통하며 지역 농산물 판로를 확대해왔다. 농가의 소득 향상은 물론 도농간 교류를 추진하고 유성구 안팎으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관계지향적 지역공동체의 거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지난해 8월 유성구와 이 업체가 친환경 로컬푸드 활성화 협약을 맺어 함께 매장을 공유하고 생산자 조직을 발굴하는 등 협업을 하고 있다. 이곳은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전환하고 있다.”
-다른 민관 협력 방식은?
“사안과 특성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민관 협력을 추진중이다. 품앗이로컬푸드처럼 협약을 맺어 서로에게 필요한 부분을 메우는 협력도 있고, 학계와 산업계를 포함해 사회적경제협의회, 로컬푸드활성화지원위원회 등의 네트워크도 구축하고 있다. 어떤 형태든 사회적 경제와 로컬푸드 생태계를 넓히고 참여하는 기관들이 서로 협력하고 연대할 수 있도록 판을 구성하려 한다.”
-공공구매에서 로컬푸드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나?
“올해 하반기부터 유성구 내 공공어린이집 급식에 로컬푸드를 사용하도록 하고 해당 비용에 대한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식을 추진중이다. 기존 초·중학교와 유치원에 적용하는 방식이었는데 이번에 어린이집까지 확대하려는 것이다. 우선 구내 21개 공공어린이집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넓혀가고 싶다. 어린이집은 안전한 먹거리를 사용하고 로컬푸드 생산자들은 판로가 더욱 확대되는 상생의 길이다.”
김회승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