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고용안정 등 촉구하기로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발주량 감소를 겪고 있는데다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국내 조선소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지난 2월 현대중공업 등 ‘빅3’를 포함한 국내 9개 조선사 노조들이 결성한 조선업종노조연대는 30일 오후 2시 경남 거제시 옥포조각공원에서 ‘전국조선노동자대회’를 열어 정부에 고용안정 등을 촉구하기로 했다.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도 임금과 노동시간 문제 등 현안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연대기구에는 2004년 민주노총 금속산업노조연맹에서 제명된 뒤 개별 단위 노조로 활동해온 현대중 노조를 비롯해 삼성중 노동자협의회와 대우조선해양·현대미포조선 노조, 금속노조 성동조선해양지회, 신아에스비(sb)지회, 한진중공업지회, 현대삼호중공업지회, 에스티엑스조선지회 등이 참여했다.
이 노조 대표자들은 “기업들은 불황을 핑계삼아 인력 구조조정을 하고 있고, 간접고용 비율이 70~80%에 육박한다”며 “정부와 기업이 조선소 전반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서지 않는다면 유럽처럼 한국 조선산업도 끝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에 조선소 산업재해 근절 대책 마련, 중형조선소 활성화와 고용안정, 조선소 국외 매각·이전 규제 등을 촉구했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지난 4월 내놓은 ‘2015년도 1분기 조선해운시황 및 전망’을 보면, 올해 1분기 국내 조선업계 수주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주어 52.4% 감소한 49억8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최대 적자를 낸 현대중은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 중인 성동조선해양이나 에스피피(SPP)조선 등은 최근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위기를 겨우 넘긴 상태다. 앞서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수출 선박을 건조하던 중소 조선사 20곳가량은 아예 문을 닫았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