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까지 재연장 신청여부 결정해야
11일 국회 산업위가 분기점 될 듯
월성1호기는 이달중 재가동 본격화
11일 국회 산업위가 분기점 될 듯
월성1호기는 이달중 재가동 본격화
정부가 원전 2기 추가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수명 재연장 신청 여부를 18일까지 결정해야 할 부산 고리 1호기의 운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고리 1호기 관련 계획을 밝히지는 않았다.
수명 재연장 신청 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기본적으로 안전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면 수명을 두번째 연장하는 게 필요하다는 태도다. 2007년 6월 설계수명이 끝난 고리 1호기는 2017년 6월까지 이미 수명 연장이 한 차례 이뤄졌다.
하지만 노후 원전의 수명을 두 차례나 연장하겠다고 나서는 데는 정부의 부담이 크다. 정치권에선 야당이 일찌감치 재연장 반대 의견을 냈고, 부산에 기반을 둔 여당 의원들 역시 반대 뜻을 밝혔다. 내년에 총선이 예정돼 있어 정치권의 관련 논의는 더더욱 가열되는 양상이다. 새누리당 소속의 서병수 부산시장은 지난 선거에서 이미 고리 1호기 폐쇄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의 이진복 의원(새누리당 간사)을 비롯한 부산지역 의원들은 9일 윤상직 산업부 장관과 조찬 모임을 열어 압박 수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 의원은 “고리 1호기 재연장을 포기해야 한다는 부산 의원들의 뜻을 장관에게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결국 11일로 예정된 국회 산업위 전체회의가 정부 방침을 밝히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이 의원은 “9일 조찬 때는 의견을 전달하고, 가부에 대한 장관 답변은 11일 상임위 전체회의 때 들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원자력발전전문위원회(10일)와 에너지위원회(12일) 등 남은 정부 일정들도 있다. 고리 1호기 재연장 신청이 이뤄지지 않으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폐로의 길을 가는 사례가 된다.
한편 올해 수명을 연장해 계속운전 승인이 난 경북 경주의 월성 1호기와 관련해 한수원과 경주시는 이날 오전 지역 상생 방안을 담은 합의안에 공동 서명하며 이달 중 재가동 계획을 본격화했다.
송경화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