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세 미흡하면 신중해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올 하반기 미국 통화당국이 정책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기준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11일 한은 기준금리 인하에 이어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추진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치권에선 추경 편성을 바라보는 여야의 기류가 엇갈리고 있다.
이 총재는 이날 창립 65주년 행사 기념식에서 “앞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등으로 정책 여건이 빠르게 변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경기회복세가 미흡하면 통화정책 기조 조정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대외 여건 변화보다 국내 경기 흐름에 더 무게를 두고 통화정책을 펴겠다는 뜻이다.
전날 기준금리를 내린 뒤 연 기자간담회에서도 이 총재는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자금) 유출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국내) 기초경제여건이 괜찮고, 외환부문의 건전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에 이런 점은 여타 신흥국과 차별화되는 여건이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우리가 따라 올리지 않아도 된다”라고 말했다. 그동안 한은이 외국인 자금 유출 등 국내외 금리차 축소에 따른 시장 불안 확대 우려를 강조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물론이고 향후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은 기준금리 인하에 이어 추경 편성으로 ‘쌍끌이 부양책’이 추진될지도 관심이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추경 편성 필요성과 관련해 “정책당국에서 잘 판단해서 경제에 주름살이 가지 않고 어려움에 빠진 서민들이 시름에 빠지지 않게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비해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최근 추경 얘기가 솔솔 나온다. 금리와 물가, 또 미국의 (통화)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보지 않으면 추경은 우리 경제에 화가 될 수 있고, 해봐야 소용이 없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세종/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