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국내 1호 상업운전 원전인 부산 기장군의 고리 1호기의 2차 수명 연장을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신청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 12일 국가에너지위원회가 고리 1호기의 폐로를 권고한 대로 한수원이 받아들여 역사적인 국내 첫 원전 해체가 실현되게 됐다.
한수원은 16일 서울 강남구 본사에서 이사회를 열어 고리 1호기의 2차 계속운전을 신청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이사회가 고리 1호기 수명 재연장을 두고 안전성은 충분히 확보됐다고 봤지만 경제성에 대해서는 이사들 간에 의견이 엇갈렸다고 설명했다. 월성 1호기 사례에 비춰볼 때 고리 1호기 수명 재연장 심사가 장기화하고 향후 지역 지원금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결국 이사회는 영구정지를 권고한 국가에너지위원회의 의견을 수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17년 6월 가동을 멈출 고리 1호기의 해체 방법과 더불어 사용후핵연료 등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하고, 중간저장 시설이나 영구처분 시설을 짓는다면 어디에 지을 것인지 등 폐로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수원은 영구정지와 해체 준비 등을 위한 사장 직속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날 이사회 직후 조석 한수원 사장은 임직원 앞으로 전자우편을 보내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었음에도 내린 영구정지 결정에 대해 직원들은 안타깝다고 받아들이겠지만 이제는 원전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한 것”이라고 밝혔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