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3자리는 시·군·구 표시
뒤 2자리는 지역내 순차번호
1년간 기존 우편번호도 허용
뒤 2자리는 지역내 순차번호
1년간 기존 우편번호도 허용
6자리로 돼 있던 우편번호가 8월1일부터 5자리로 바뀐다.
우정사업본부는 우편번호를 5자리로 개편하는 작업을 마무리해 8월1일부터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우편번호 개편은 도로명 주소 시행과 더불어 국가기초구역제도가 도입된 데 따른 것으로, 미국의 짚코드(우편번호)처럼 소방·통계·우편 등 모든 공공기관이 공통으로 사용한다. 하천·철도·대로 등 객관적인 지형지물을 기반으로 전국에 3만4000여개가 부여됐다. 새 우편번호는 5자리 가운데 앞 3자리는 시·군·구를 나타내고, 뒤 2자리는 해당지역의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가며 순차적으로 붙여졌다.
새 우편번호는 우체국 창구에 비치돼 있는 새 우편번호부 책자, 인터넷 우체국(www.epost.kr), 전국 우체국 누리집, 우체국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주요 포털사이트 등에서 찾을 수 있고, 우편고객센터(1588-1300)에서도 알려준다. 1년 동안은 기존 6자리 우편번호를 적어도 배달된다. 우정사업본부는 “새 우편번호 시행으로 우편물 배달 경로가 단순·최적화돼 배달 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가능하면 집이나 사무실의 도로명 주소와 새 우편번호를 외워서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우리나라에서 우편번호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70년 7월1일이다. 우편번호는 1959년 10월 영국에서 처음 사용됐으며,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는 일본(1968년 7월), 대만(1970년 3월)에 이어 3번째, 전 세계적으로는 15번째로 도입됐다. 최초 우편번호는 5자리로 집배우체국별로 부여됐다. 이후 1988년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6자리로 개편됐고, 이번에 국가기초구역을 기준으로 5자리 번호로 바뀌는 것이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