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생 남성 78.5살, 여성 85.1살
남성 높은 흡연율·스트레스 등 원인
남성 높은 흡연율·스트레스 등 원인
한국 여성과 남성의 기대수명 격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 가운데 큰 편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대비 한국 남성의 기대수명이 다른 나라 남성들과 견줬을 때 짧다는 얘기다.
24일 오이시디의 ‘건강 통계 2015’(Health Data 2015)를 보면, 2013년에 태어난 한국 아이의 기대수명은 81.8년이다. 한국 남성은 기대수명이 78.5년으로 여성(85.1년)보다 6.6년 짧았다. 한국 여성과 남성의 기대수명 격차는 오이시디 34개국 가운데 프랑스(6.6년)와 함께 5번째로 컸다. 기대수명이란 연령별·성별 사망률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됐을 때 출생자가 향후 몇 년을 더 생존할 것인가를 통계적으로 추정한 수치다.
한국보다 남녀 기대수명 격차가 큰 나라는 에스토니아(8.9년), 폴란드(8.2년), 슬로바키아(7.2년), 헝가리(6.9년) 등 4개국뿐이다. 네덜란드와 뉴질랜드, 영국이 각각 3.7년으로 격차가 작은 편에 속했고, 아이슬란드(3.2년)가 가장 작았다.
여성의 기대수명이 가장 긴 나라는 일본(86.6년)이다. 스페인(86.1년), 프랑스(85.6년), 이탈리아(85.2년)는 2~4위에 올랐다. 한국 여성의 기대수명은 85.1년으로 5위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한국 남성(78.6년)의 순위는 16위로 중간 정도다.
한국 남성의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으로는 높은 흡연율과 사회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 등이 꼽히고 있다. 남성의 기대수명은 대체로 흡연율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15살 이상 남성 흡연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그리스(43.7%)였고 터키(37.3%)가 다음 순위였다. 한국 남성의 흡연율은 36.2%로 에스토니아와 공동 3위를 차지했다. 흡연 남성 비율이 높은 터키(73.7년)와 에스토니아(72.8년)의 기대수명 순위는 각각 28위, 31위로 최하위권이었다. 흡연율이 가장 낮은 스웨덴 남자의 기대수명은 80.2년으로 5위였다.
여성의 경우(15살 이상) 한국이 4.3%의 흡연율로 34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한국 남녀의 흡연율 차이가 기대수명에 고스란히 반영된 셈이다. 흡연 말고도 남성이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사회생활을 많이 하고 있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장영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흡연, 음주는 물론 암, 자살률 등도 기대수명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라며 “사회생활을 하면 아무래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사고 위험도 커지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김소연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