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올 9월까지 남상태 등 6명
경영자문 명목 16억여원 지원
산은, 2년전 국감서 지적받고도 방관
경영자문 명목 16억여원 지원
산은, 2년전 국감서 지적받고도 방관
‘3조원대’ 손실을 숨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이 2012년부터 올해 8월까지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과 산업은행 부행장 출신 김유훈·김갑중 전 부사장(재경실장) 등 퇴임 경영진 6명에게 ‘경영 자문’ 명목으로 급여뿐 아니라 사무실 임대료와 법인 차량, 4대 보험 및 상해보험 등 모두 16억7천여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회사 대우조선해양이 경영 자문 제도를 사실상 ‘퇴직 임원 예우’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음에도, 산업은행은 이 제도를 방치했다. 산업은행이 퇴임한 자사 식구 챙기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논란이 예상된다.
<한겨레>가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2006년 이후 대우조선해양 비상근 임원 현황 및 지원 내역을 보면, 32명이 경영 자문을 이유로 연간 1800만~2억5698만원을 받았다. 32명 가운데 대우조선해양 사장·부사장 출신이 6명이고, 1명은 자회사 사장 출신이다.
전임 사장은 2년, 부사장은 1년간 비상근 임원으로 위촉하는 제도는 남상태 전 사장이 퇴임할 당시(2012년) 도입됐다. 남 전 사장은 2012년 3월 말부터 2년 동안 ‘상담역’으로 있으면서 급여 5억1천여만원과 사무실 임대료 2억3천여만원, 법인 차량 운용비 6천만원 등을 제공받았다. 김유훈 전 부사장도 2012년 3월 말 1년 임기의 자문역으로 위촉돼 1억5천여만원의 급여와 빌딩 사무실 임대료 7793만원, 법인 차량 운용비 1800만원을 받았다.
2012년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대우조선해양이 물러난 경영진을 다시 상담·자문역에 임명하고, 연봉의 절반가량을 지급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이 회사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이후 대우조선해양 내부에서는 퇴임 경영진에 대한 고문·자문 위촉 제도 폐지가 논의됐다가 흐지부지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름을 밝히길 꺼린 대우조선해양 직원은 “자회사로 자리를 옮기기 힘든 사장이나 부사장에 대해 그동안 수고했다는 의미로 고문 등에 위촉한다”고 말했다.
올해 초 퇴임한 고재호 전 사장과 김갑중·박동혁·고영렬 전 부사장 등 4명도 전임 경영진처럼 고문·자문역으로 위촉했다가 대규모 손실 문제가 불거지자 8월31일자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고 전 사장은 5월29일부터 3개월간 경영 자문 대가로 4298만원을, 산업은행 출신 김 전 부사장은 5개월 동안 5050만원을 받았다.
2006년 이후 재직한 대우조선해양 비상근 임원 명단에는 산업은행뿐 아니라 이 회사 최대 채권은행인 한국수출입은행 출신 2명도 포함돼 있다. 민병두 의원은 “산업은행이 감사원에서 유사한 지적을 받았음에도 대우조선해양의 실적 없는 자문 고용을 방치하고 오히려 자사 출신이 대우조선해양과 자회사에 자문 등으로 취업하는 것을 방조했다”며 “산업은행의 감독 의무 태만과 유착은 대우조선해양 부실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은 다른 조선업체와 동일한 수준의 제도를 운영중”이라고 설명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