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균 삼성전자 사장
1~3분기 23억…스마트폰사업 부진 탓
정몽구 현대차 회장 70억…CEO 최고
정몽구 현대차 회장 70억…CEO 최고
삼성전자 아이엠(IM, 아이티·모바일) 부문 신종균 사장의 올해 1~3분기 보수가 22억89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100억원 가까이 줄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으로 70억원을 받아 주요 재벌그룹 총수 및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보수가 가장 많았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개된 주요 기업들의 3분기 보고서를 보면, 신종균 사장은 올해 들어 3분기까지 급여 12억9600만원, 상여 9억8400만원, 기타 근로소득 900만원 등 총 22억8900만원을 받았다. 신 사장은 2013년 휴대전화 판매 호황으로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120억원이 넘는 보수를 받았다. 지난해 90억원에 이르렀던 기타 근로소득이 올해 900만원으로 급감한 것인데,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이 부진에 빠지면서 특별상여를 받지 못한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또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급여 15억6200만원, 상여 22억3300만원, 기타 근로소득 2400만원 등 총 38억2000만원을, 윤부근 소비자가전 부문 사장은 급여 12억9600만원, 상여 10억200만원, 기타 근로소득 4300만원 등 총 23억4100만원을 받았다.
정몽구 회장은 올해 3분기까지 현대차에서 40억원, 현대모비스에서 30억원 등 총 70억원의 보수를 받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억5000만원 줄었지만, 재벌그룹 총수나 시이오 가운데 가장 많은 액수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지난해보다 900만원 감소한 11억6900만원을 현대차에서 받았다. 정 부회장은 기아차와 현대제철, 현대엔지비의 등기임원을 맡고 있지만 이들 회사로부터는 보수를 받지 않고 있다.
에스케이(SK)그룹에서는 최태원 회장이 경영 일선에 복귀했지만 지난해 무보수 경영을 선언해 김창근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3분기 누적 13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다.
구본무 엘지(LG)그룹 회장은 올해 3분기까지 44억원, 동생인 구본준 엘지전자 부회장은 같은 기간 15억57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은 올해 1~3분기 10억5000만원의 보수를 받았고, 효성그룹 조석래 회장은 25억3200만원, 아들인 조현준 사장과 조현상 부사장은 각각 7억100만원과 6억7800만원을 받았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