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열명 중 아홉명 꼴로 최근 5년간 경제성장률이 2~3%대에 머물고 있는 것에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우리경제 현주소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2011년부터 5년째 2~3%대 성장률이 지속되고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우려’(38.4%)와 ‘약간 우려’(50.1%)를 포함해 88.5%가 우려한다고 응답했다. ‘별로 우려 안한다’거나 ‘전혀 우려 안한다’는 응답은 11.1%에 그쳤다.
2~3%대 저성장의 지속에 따른 최대 문제점으로는 ‘고용 위축 및 청년실업 상승’이라는 응답이 37.1%로 가장 많아, 역시 청년실업 등 일자리 문제가 국민들의 최대 불안거리임을 확인시켜줬다. 다음으로는 ‘가계부채 증가’(24%)와 ‘가계소득 증가 둔화’(10.5%)라는 응답이 많아 ‘가계소득 부진→가계부채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대한 불안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사회 전반에 불안감 확산 및 역동성 저하’(15.2%)가 많이 꼽혀, 고용과 서민생활 불안이 사회 불안으로 이어질 수도 있음을 보여줬다.
한국경제의 역동성과 활력을 위협하는 최대 요인으로는 ‘주력산업 부진 및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13.5%)과 ‘신성장산업 출현 및 활성화 부진’(14%)을 합친 응답이 27.5%에 달해, 기존 주력산업의 경쟁력 유지와 차세대 먹거리 발굴이 동시에 부진한 데 대한 불안을 보여줬다. 이어 ‘저출산 및 고령화 심화’(26.8%)와 같은 사회구조 변화 요인과 ‘높은 청년실업률’(24.3%)로 상징되는 고용불안이 뒤를 이었다.
한국경제의 지속발전을 위한 기업 대책으로는 ‘일자리 창출 및 투자 확대’(56.3%)가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는 ‘법인세 및 사회부담금 부담 증대’(13.2%)가 꼽혀, 법인세 인상에 반대하는 재계의 주장과 거리를 보여줬다. 정부 대책으로는 ‘경제활성화와 일자리’(44.2%)와 ‘서민생활 안정’(27.7%)이라는 응답이 많아, 역시 고용과 서민생활 안정에 대한 요구가 컸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