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상황 반영 실시간 길 안내
모바일 내비 시장 판도 변화 주목
모바일 내비 시장 판도 변화 주목
카카오에 이어 국내 최대 포털 사업자인 네이버도 모바일 내비게이션(내비)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모바일 택시잡기와 실시간 배송 서비스, 무인 자동차의 등장 등으로 모바일 내비의 활용 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동통신 사업자는 물론이고 대형 포털 업체들까지 앞다퉈 뛰어드는 모습이다.
네이버는 2일 지도 애플리케이션(앱)에 내비 기능을 추가했다. 앱 첫 화면의 내비게이션 메뉴를 클릭하면 실시간으로 빨리 갈 수 있는 길을 찾아 안내해주는 화면으로 넘어간다. 네이버 지도 앱은 장소 검색부터 대중교통, 자동차 빠른길 찾기, 거리뷰, 항공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네이버는 “지도 앱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내비 기능을 추가했다. 가입한 이통사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고, 맛집과 둘러볼 곳 같은 주변 정보를 쉽게 검색해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현대엠엔소프트의 실시간 길안내 기술(엔진)을 채택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지도 앱에 미러링(스마트폰 화면을 차량 내비게이션 화면에 띄워주는 것) 기능을 더해 ‘커넥티드카’ 플랫폼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카카오는 록앤올의 ‘김기사’를 인수해 내비 시장에 진출했고, 케이티(KT)는 협력업체를 통해 개발하던 ‘올레내비’의 엔진을 내비 전문업체인 팅크웨어 것으로 바꿔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티맵’이 사실상 주도하는 국내 모바일 내비 시장 판도가 네이버의 가세로 어떻게 바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