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단지들이 빽빽히 들어서 있는 서울. 한겨레 자료 사진
최근 주택 시장에 찬바람이 불면서 지난해 뜨겁게 달아올랐던 경매 열기도 새해 들어 한 풀 꺾이고 있다. 다음달부터 원리금 분할상환을 뼈대로 한 가계 부채 관리 방안이 시행되면 주택 거래가 줄어들면서 가격도 약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법원경매 전문회사 지지옥션 자료를 보면, 이달 28일 현재 전국의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 가격 비율)은 88.2%로 지난해 11월(93.3%) 이후 두달 연속 하락했다. 가계 부채 관리 방안 시행, 금리 인상 가능성, 공급 과잉 논란 등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주택 거래 시장의 매수세가 위축되고 가격이 약세로 돌아서면서 경매 시장에서도 고가 낙찰이 줄어든 것이다.
특히 지방 아파트 낙찰가율 하락세가 가파르다. 이달 현재 낙찰가율은 81.9%로 지난달(88.2%)에 비해 6.3%포인트 떨어졌다. 최근 대구광역시 등 지방의 아파트 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곳이 늘어나면서 경매 낙찰 가격도 낮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 아파트의 낙찰가율이 지난해 12월(90.6%)보다 1.1%포인트 떨어진 89.5%를 기록하며 지난해 1월(88.4%) 이후 처음으로 90%대가 무너졌다. 이와 달리 서울은 28일 현재 낙찰가율이 99%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창동 지지옥션 연구위원은 “서울은 아파트 값이 아직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어 낙찰가율이 떨어지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2월 가계 부채 관리 방안 시행으로 주택 시장이 얼어붙는다면 경매 시장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