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송파·강동구 13개월만에
서울 전체로는 소폭 올랐지만
상승폭은 지난해 6월 이후 최저
전셋값 급등 추세도 한풀 꺾여
이달 시행 가계부채대책 등 영향
서울 전체로는 소폭 올랐지만
상승폭은 지난해 6월 이후 최저
전셋값 급등 추세도 한풀 꺾여
이달 시행 가계부채대책 등 영향
새해 들어 주택시장에 찬바람이 불면서 서울 강남, 송파, 강동구의 주택 매맷값이 13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금융당국의 주택담보대출 규제(원리금 분할상환)와 주택 공급과잉 우려가 맞물리면서 고가주택이 많이 분포한 서울 강남권부터 부동산 구매 심리가 얼어붙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31일 한국감정원이 내놓은 ‘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를 보면, 서울 25개구 가운데 강남구(-0.22%), 송파구(-0.03%), 강동구(-0.22%)의 주택(아파트·다세대·연립·단독주택 통합) 매매가격이 전달 대비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이들 3개구의 매매가격이 내림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2014년 12월 이후 무려 13개월 만이다. 강남권과 달리 강북 지역에서는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서울 전체로는 매매가격이 전달보다 0.05% 올랐지만 이 역시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전국 차원에서도 주택시장은 숨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전국 통합 주택 매매가격은 지난해 말 대비 0.04% 상승했는데, 이는 지난해 12월 상승률(0.15%)의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지방(0.05%)에서는 대구가 -0.14%로 전국 시·도를 통틀어 가장 많이 하락했고 충남(-0.11%), 경북(-0.07%), 대전(-0.06%) 등의 차례로 낙폭이 컸다. 수도권 매매가격 상승률도 전달의 5분의 1 수준인 0.4%에 그쳤다.
전셋값도 서울이 0.23%, 수도권 0.18% 소폭 오르는데 그치면서 전달보다 오름폭이 축소됐다. 학군 우수지역, 강남권 재건축 단지 인근지역, 신분당선과 별내선 연장개통 수혜지역 등을 중심으로 전셋값 상승세는 지속됐지만 지나치게 뛰어오른 전세가격 탓에 임차 수요가 줄고 신축 입주물량은 증가하면서 오름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감정원은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이 새해 들어 서울 강남을 시작으로 ‘약보합’ 국면에 진입한 것은 지난해 집값이 단기간 상승한데 따른 피로감과 함께 2월부터 시행하는 가계부채 종합대책이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한다. 서울의 매매가는 지난해 4.60%(아파트 6.71%) 올랐는데, 강남구(통합 7.83%, 아파트 9.74%)와 강동구(통합 7.25%, 아파트 9.57%) 상승률은 서울 평균치를 크게 웃돈 바 있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1년 뒤부터는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도록 한 가계부채 종합대책은 수도권이 2월, 지방은 5월부터 각각 적용된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지난해 부동산시장이 과열을 빚은데 따른 부작용도 올해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본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지난해 전국의 주택 착공 물량(71만6759가구)은 전년보다 41.2%, 공동주택 분양 물량(52만5467가구)은 52.4%나 급증해‘공급과잉’우려를 낳고 있다. 박원갑 케이비(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지난해 공급물량 증가가 시장에서‘소화불량’ 정도에서 끝날지 ‘급체’에 따른 응급상황으로 이어질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감정원이 이달 처음 발표한 전월세 통합지수는 지난달에 견줘 0.09% 상승했다. 전월세 통합지수는 전·월세 시장의 단일화된 지표를 제공하기 위해 전세지수와 월세통합지수, 전·월세 주택재고비율 등을 활용해 산출하는 것이다. 감정원 조사 주택의 전월세 재고비중은 전세가 47.1%, 월세가 52.9%에 이른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