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 상가에 있는 부동산중개업소에 시세표들이 빽빽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평균 전셋값 3억7800만원
연소득 5321만원의 7.1배
경기 4.2년·전남 1.6년 걸려
연소득 5321만원의 7.1배
경기 4.2년·전남 1.6년 걸려
서울에서 도시근로자 가구가 평균 가격의 아파트 전셋집을 얻으려면 7.1년 동안 가구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 조사를 보면, 케이비(KB)국민은행이 파악한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3억7800만원으로, 도시근로자 가구(가구원 2인 이상) 연간 소득의 7.1배에 이르렀다. 통계청이 지난해 3분기 발표한 도시근로자 가구의 평균 연간 소득은 5321만7036원이었다. 서울에선 도시근로자 가구가 소득을 100% 저축한다고 가정해도 아파트 평균 전세금을 마련하는 데 7.1년이 걸린다는 얘기다.
도시근로자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을 마련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은 1년 전인 2014년(6.1년)보다 1년 늘었다. 이 소요 기간은 국민은행이 평균 전세값 조사를 시작한 2011년 5.4년에서 2012년 5.3년으로 줄었다가 2013년 5.7년, 2014년 6.1년으로 2년 연속 0.4년씩 늘었다. 지난해 소요 기간이 크게 늘어난 것은 최근 1년여간 서울의 전셋값 상승세가 가팔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에서도 권역별로 차이가 컸다. 강북권(14개구)의 평균 전셋값은 3억547만원으로 도시근로자 가구가 전세금을 모으려면 꼬박 5.7년이 걸린다. 반면 강남권은 전셋값이 4억3886만원으로 8.2년의 자금 마련 기간이 소요된다. 서울 강남에서 전세 아파트에 살려면 강북 아파트보다 2.5년 소득을 더 모아야 하는 셈이다.
전국 시·도별로는 경기도 4.2년, 대구 3.7년, 인천·부산·울산 3.1년, 광주·대전·경남 2.7년, 충남 2.5년, 경북 2.4년, 세종·충북 2.2년, 전북 2년, 강원 1.9년, 전남 1.6년 등이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은 “전세금 마련 기간이 늘어나는 것은 소득이 증가하는 것보다 전세값 상승 폭이 더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도시근로자 연소득 대비 아파트 전세금 비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