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협, 공정위에 조사 요청
“이전보다 430원 더 주고 보는 셈”
CGV “인상 효과 있지만 폭은 낮아”
“이전보다 430원 더 주고 보는 셈”
CGV “인상 효과 있지만 폭은 낮아”
국내 최대 복합상영관 체인인 씨지브이(CGV)가 최근 도입한 ‘좌석별 가격 차등화 정책’이 영화 관람비용 상승을 부른 것으로 나타나자, 소비자단체가 이를 ‘편법 가격인상’으로 보고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요청하기로 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소협)는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서울 영등포·용산·강동·구로·왕십리 등 5곳의 씨지브이에서 상영된 영화 <주토피아>와 <귀향>의 예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관람객들이 인상 전보다 평균 430원을 더 주고 영화를 본 것으로 추산된다고 30일 밝혔다.
씨지브이는 지난 3일부터 좌석위치와 관람 시간대에 따라 관람료를 달리하는 정책을 채택했다. 좌석은 ‘이코노미존’ ‘스탠다드존’ ‘프라임존’ 세 단계로 구분해 관람료를 차등화했다. 스탠다드존은 기존 가격과 동일하지만, 이코노미존은 천원 낮게, 프라임존은 천원 높게 가격이 책정됐다.
소협의 조사 결과 <주토피아>는 주중(월~금)에 프라임존과 이코노미존의 예약률이 각각 22%와 1.1%였고, 주말에는 각각 60.3%, 19.5%였다. 귀향은 주중에 프라임존과 이코노미존의 예약률이 각각 15.1%와 0.6%였고, 주말은 각각 45.5%, 5.3%였다. 이를 적용하면 현장예매자를 뺀 이코노미존 관객은 870명, 프라임존 관객을 1만535명으로 추산된다. 결국 씨지브이는 가격 차등화 이전보다 966만5000원의 추가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됐다. 관람료를 한 명당 평균 430원 올려받았다는 셈이 나온다.
소협 쪽은 “스크린 앞 1~2번째 줄인 이코노미존에서는 영화 보기가 불편해, 천원이 싸더라도 굳이 소비자들이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씨지브이 관계자는 “인상효과가 있는 것은 맞다”면서도, “일부 극장과 영화로 한정해 산정한 수치일 뿐, 여러 할인제도를 고려하면 인상폭은 더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이재욱 기자 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