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현대 삼성, 플랜트 생산, 인도, 수주로 활기
조선 3사의 플랜트 사업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조선업 부실의 주요인이었던 플랜트 분야의 회복세가 구조조정이 진행중인 업체들에게 ‘구원의 빛’이 될지 관심을 모은다.
대우조선해양은 카자흐스탄 텡기즈유전에서 27억달러(약 3조원)의 원유 플랜트 확장 사업에 착수한다고 18일 밝혔다. 3조원은 단일 플랜트 사업으로는 대우조선 사상 최대 규모다. 애초 대우조선은 지난 2014년 11월 이 사업을 수주했으나 세계 경기 둔화와 유가 하락에 따라 사업에 착수하지 못했다.
사업 재개는 텡기즈유전 대주주인 셰브론과 엑손모빌이 생산시설 확장에 투자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두 업체가 각각 50%, 25%의 지분을 가진 텡기즈셰브로일은 이 사업에 모두 368억달러를 새로 투자하기로 했다. 대우조선은 유정 제어와 원유 처리 등 생산설비 24만t을 제작한다. 이 규모는 대우조선과 협력업체의 플랜트 관련 인력이 3년가량 일할 수 있는 분량이다. 대우조선은 옥포조선소와 자회사인 신한중공업 등에서 90여개의 모듈을 제작해 2020년까지 텡기즈셰브로일에 인도할 예정이다. 대우조선은 1차 선수금으로 1억3천만달러(1500억원)를 받아 유동성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대우조선은 앙골라 석유회사 소난골이 원유시추선 2기를 인수하지 않아 1조원가량의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카자흐 플랜트 사업은 대금이 공사 물량에 연동되기 때문에 사업 위험도도 낮은 편이다.
현대중공업도 지난 15일 반잠수식 시추선을 발주자인 미국 다이아몬드 오프쇼어에 인도해 4600억원의 잔금을 받게 됐다. 반잠수식 시추선은 일반 시추선보다 이동성이 떨어지지만 안정성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성중공업도 이탈리아 국영 에너지업체 에니가 발주한 부유식 액화천연가스(FLNG) 생산설비 입찰에서 사업자 선정이 유력시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프랑스·일본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응찰했다. 삼성중공업의 수주 예상액은 25억달러(약 2조8천억원) 규모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