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연예인 수입금액 신고 자료 분석
10명 중 9명은 1년에 1천만원도 못 벌어
“K팝,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보인다”
10명 중 9명은 1년에 1천만원도 못 벌어
“K팝,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보인다”
연예인도 인기에 따라 소득 양극화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는 전체 연예인 수입의 절반 가까이를 벌어들이는 반면 10명 중 9명 가량은 연간 수입이 1천만원도 되지 않았다.
16일 국세청 자료를 보면, 2015년 배우·탤런트로 수입금액을 신고한 인원은 모두 1만5423명으로 연평균 수입금액은 4300만원이었다. 수입 상위 1%인 154명은 연 수입으로 평균 19억5500만원을 벌었다. 배우·탤런트 상위 1%가 전체 수입의 45.7%를 차지한 셈이다. 상위 10%(1542명)로 대상을 확대하면 평균 수입은 3억6700만원으로 이들이 올린 수입이 전체 수입의 86%에 달했다. 상위 10%를 제외한 나머지 하위 90%인 1만3881명의 연평균 수입은 700만원, 한 달에 고작 58만원을 버는데 그쳤다.
성별로 보면, 배우·탤런트의 평균 수입금액은 남성이 4700만원으로 여성(3800만원)보다 많았다. 수입금액 상위 1%에 해당하는 정상급 배우 역시 남성이 95명으로 여성(59명)보다 많았다. 가수의 평균 수입금액은 남성 9천만원, 여성 3700만원으로 남성의 수입이 여성의 2.4배에 달했다.
가요계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가수(총 4587명) 중 상위 1%인 45명이 1년에 벌어들인 돈은 평균 31억800만원이었다. 이는 전체 가수 수입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상위 10%(458명)는 연 평균 수입이 6억400만원으로 전체의 88.9%를 차지했다. 나머지 하위 90%(4천129명)는 연평균 수입이 800만원에 머물렀다.
수입금액 상위 1%에 해당하는 가수는 남성이 38명, 여성이 7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수입금액은 남성이 34억원, 여성이 16억원이었다. 국세청 관계자는 “가수업계에서는 남성 아이돌 가수들이 수입금액 상위권을 싹쓸이했다”며 “K팝,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