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개성공단 재개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 개성공단기업 비대위 제공
지난해 2월10일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 중단된 이후 1년간 123개 입주기업들이 입은 영업손실이 총 25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9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런 내용을 포함한 ‘전면중단 1년 입주기업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공단 가동 전면 중단 이후 1년간 손실액에 대해 응답 기업의 50.0%가 10억원 미만, 24.3%가 10억~20억원, 9.5%가 20억~30억원, 6.8%가 50억원 이상이라고 답변했다. 입주기업 전체로 단순 환산하면 2500억원 안팎으로 추정된다고 비대위는 밝혔다.
국내 모기업(남한 본사)의 매출도 대부분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31.4%가 2015년 대비 2016년 매출이 급감했다고 답했다. 80% 이상 폭락한 기업도 13.8%나 됐다. 개성공단에 생산을 전적으로 의존했던 기업들 중 32개사의 매출은 평균 48.0%나 떨어졌다.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부족한 피해 지원액’(51.0%)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운영·투자자금 부족’(38.0%), ‘각종 지원책 기한 만료로 유동성 부족’(2.0%), ‘협력업체·원청업체와의 소송 및 거래 단절’(2.0%) 순으로 응답했다.
입주기업인들은 개성공단 재가동 예상 시기로 ‘2017년 하반기’(37.0%)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2018년 이후’(32.0%), ‘대선 이후 즉시’(15.0%) 순으로 답했다. ‘재개가 어렵다’는 답변도 16.0% 나왔다. 재가동 때 재입주 의향을 물은 질문에는 67.0%가 ‘재입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상황을 보고 판단하겠다’는 기업도 26.0%다. 반면 7.0%는 재입주가 힘들다고 답했다.
정기섭 비대위원장은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처는 법적 절차를 지키지 않은 행위로, 실질 피해액의 3분의 1에 불과한 지원액도 무이자 대출 성격에 그친다”고 주장했다. 이어 “입주기업 3분의 2가 재개를 원하고 있는 만큼 공단 재개를 위한 논의가 시급히 시작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개성공단기업 비대위는 기자회견에서 입주기업들의 실질피해 보전을 위한 '보상특별법' 제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윤영미 선임기자
youngm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