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5년 김포공항에 제2여객터미널과 함께 대형 시외버스터미널이 들어설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국내선 여객 수요 증가에 대처하고 서울 서부지역의 버스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김포공항 개발 기본계획 변경안’을 고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변경안에 따르면, 정부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총 2275억원을 쏟아 김포공항에 국내선 제2터미널과 대형 고속·시외버스터미널을 건설할 예정이다. 현 한국공항공사 사무실 등으로 쓰이고 있는 부지에 건설될 제2여객터미널은 연간 500만명 규모의 여객을 수용할 수 있다.
제2여객터미널 바로 앞에는 버스터미널과 주차장 등으로 구성된 5층 규모의 교통센터를 건설한다. 버스터미널 면적은 1만2000㎡로, 서울 남부터미널(1만515㎡)보다 규모가 더 크다. 서울고속터미널과 동서울터미널 등 서울 주요 대형 버스터미널은 남부와 동부 지역에 집중돼있었을 뿐 서울 서부지역에는 대형 시외버스터미널이 없었다. 2025년 버스터미널이 완공되면 서울 서부지역에 최초로 생기는 대형 버스터미널이다.
교통센터 2~5층에는 주차 시설이 들어서고, 남동 쪽 부지에는 추가로 3600대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장기 주차장도 마련될 예정이다. 공항에 대한 접근성을 대중교통과 자가용 모두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국토부가 김포공항 국내선을 확장하고 교통센터를 새로 짓기로 한 것은 국내 여객 수요가 앞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국토부의 '제5차 공항 개발 중장기 종합 계획'을 보면, 2015년 1913만명인 김포공항 국내선 이용객은 김포∼제주 노선 이용객 증가 등으로 2020년에는 2434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허승 기자 rais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