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왜
후쿠시마 사고이후 건설 결정
안정성 의문·주민들 반발에도
전세계적 탈핵 흐름과 거꾸로
과거실패 반면교사 삼아야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 내부 분열
사회적 관심 못끌고 반쪽 결론 내
정확한 정보전달·투명운영 전제돼야
후쿠시마 사고이후 건설 결정
안정성 의문·주민들 반발에도
전세계적 탈핵 흐름과 거꾸로
과거실패 반면교사 삼아야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 내부 분열
사회적 관심 못끌고 반쪽 결론 내
정확한 정보전달·투명운영 전제돼야
부산을 비롯한 동부지역 와이더블유시에이(YWCA) 회원들이 지난해 11월14일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대인 울산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고리원전 신고리 5·6호기 예정 부지 앞에서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를 요구하는 바람개비 행진을 하고 있다. 울산/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시민배심원 제도, 배경과 운영은?
1980년대 덴마크에서 ‘합의회의’ 처음 도입
국내 GMO·생명복제기술·전력정책 시민배심원 제도 시도
정부 주도의 시민배심원제 시도는 이번이 두 번째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뼈대는 시민배심원 제도에 있다. 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아닌 시민 가운데 10명을 선발해 핵발전소 건설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참여 민주주의’의 틀을 가지고 있다. 시민배심원 제도의 뿌리는 덴마크에서 시작했다. 이영희 가톨릭대 교수(사회학)의 연구자료를 보면, 덴마크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사회적인 결정을 위해 ‘합의회의’라는 제도를 운영해왔다. 합의회의는 신문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지원한 시민 가운데 15명 정도의 패널을 선발한 뒤, 이들이 자료와 전문가 강의를 통해 주제를 익힌 뒤 정부 정책에 대한 의견을 내는 방식이다. 미국에서는 비영리단체인 제퍼슨 센터가 1970년대 초반 무작위로 뽑힌 시민들이 4~5일 동안 정부 정책 등 중요한 문제에 대해 논의한 뒤 결정하는 ‘시민배심원 회의’라는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국내에서 시민배심원 제도를 운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가 1998년 유전자변형식품(GMO)에 대한 정책 제언을 위해 ‘합의회의’를 처음 열고, 1999년에는 생명복제기술, 2004년에는 전력정책 전반에 대한 시민사회의 의견을 모으는 시민배심원 제도가 운영된 바 있다. 정부가 중심이 돼 시민배심원 제도를 운영한 것은 2009년 처음 문을 연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처음이다. 그러나 당시 위원회 운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2013년 10월 다시 문을 연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도 논란을 거듭하다 2015년 6월30일 운영을 종료했다.
국내 GMO·생명복제기술·전력정책 시민배심원 제도 시도
정부 주도의 시민배심원제 시도는 이번이 두 번째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뼈대는 시민배심원 제도에 있다. 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아닌 시민 가운데 10명을 선발해 핵발전소 건설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참여 민주주의’의 틀을 가지고 있다. 시민배심원 제도의 뿌리는 덴마크에서 시작했다. 이영희 가톨릭대 교수(사회학)의 연구자료를 보면, 덴마크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사회적인 결정을 위해 ‘합의회의’라는 제도를 운영해왔다. 합의회의는 신문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지원한 시민 가운데 15명 정도의 패널을 선발한 뒤, 이들이 자료와 전문가 강의를 통해 주제를 익힌 뒤 정부 정책에 대한 의견을 내는 방식이다. 미국에서는 비영리단체인 제퍼슨 센터가 1970년대 초반 무작위로 뽑힌 시민들이 4~5일 동안 정부 정책 등 중요한 문제에 대해 논의한 뒤 결정하는 ‘시민배심원 회의’라는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국내에서 시민배심원 제도를 운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가 1998년 유전자변형식품(GMO)에 대한 정책 제언을 위해 ‘합의회의’를 처음 열고, 1999년에는 생명복제기술, 2004년에는 전력정책 전반에 대한 시민사회의 의견을 모으는 시민배심원 제도가 운영된 바 있다. 정부가 중심이 돼 시민배심원 제도를 운영한 것은 2009년 처음 문을 연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처음이다. 그러나 당시 위원회 운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2013년 10월 다시 문을 연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도 논란을 거듭하다 2015년 6월30일 운영을 종료했다.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