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헤이 아담스 호텔에서 열린 우리 참여 경제인과의 차담회에서 경제인들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손경식 CJ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최태원 SK 회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문 대통령. 워싱턴/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을 수행해 미국을 방문 중인 한국 경제인단이 향후 5년간 미국에 128억달러(한화 14조6천억원)를 투자하고, 항공기·액화천연가스(LNG) 구입을 포함해 224억달러(25조6천억원) 어치를 구매할 계획이다.
대한상의(회장 박용만)는 29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52개 방미 기업들의 주요 대미 투자 및 구매 계획을 집계해 발표했다. 투자계획에는 미국 현지 공장설립, 생산설비 확충, 미래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 현지기업 인수합병 투자가 모두 포함됐다.
기업별 투자계획을 보면 삼성전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3억8천만달러 규모의 가전공장을 짓고, 텍사스 오스틴의 반도체 공장에도 2020년까지 15억달러를 추가 투자한다. 엘지(LG)전자는 2019년까지 테네시에 2억5천만달러 규모의 가전공장을 건설해 연간 100만대의 세탁기를 생산하고, 뉴저지 신사옥 건설에 3억달러를 투자한다.
에스케이(SK)는 에너지 분야 등에 최대 44억달러를 투자한다. 에스케이는 오클라호마, 텍사스 등에서 셰일가스 개발과 액화천연가스 생산사업을 진행 중이고, 28일 미국 제너럴일렉트릭, 콘티넨탈 리소스와 셰일가스 탐사 및 생산분야 투자에 관한 업무계약을 맺었다. 현대차는 친환경 자율주행차 등 미래기술 개발, 신차 및 신엔진 개발 등에 31억달러를 투자한다.
두산은 미국 자회사인 두산밥캣, 두산퓨얼셀아메리카 등의 현지공장 증설과 차세대 제품 개발, 연구개발 투자에 총 7억9천만달러를 투자한다. 씨제이(CJ)는 씨제이제일제당 식품·바이오부문 생산공장 신규증설과 씨제이대한통운·씨제이씨브이의 현지기업 인수합병 등에 총 10억5천만달러를 투자한다. 엘에스(LS)그룹은 미국 남부에 4천만달러 규모의 자동차 전장 부품공장을 건설하고, 권선 및 통신 케이블을 생산하는 자회사 슈피리어에섹스의 설비 및 연구개발에 3억2천만달러를 투자한다. 지에스(GS)는 지에스건설이 실리콘밸리 주택단지 재건축사업에 1천만달러를 투자하고, 한진은 로스앤젤레스화물터미널 개보수에 700만달러를 투자한다.
중견·중소기업도 미국 내 첨단 신산업 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다. 모바일 지문인식 모듈을 수출하는 크루셜텍은 4중 복합 생체인식출입시스템 개발에 6500만달러를 투자하고,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데이터스트림즈는 미국 현지법인과 기술지원 사무소에 3700만달러를 투자한다. 반도체 검사장비와 다층 세라믹 기판을 생산하는 엑시콘은 연구소와 생산시설 건설에 6천만달러를 투자한다.
또 한국 기업은 액화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LPG), 항공기 구입 등으로 향후 5년간 총 224억달러 어치를 구매할 계획이다. 에스케이는 2020년부터 미국산 액화천연가스와 액화석유가스를 매년 18억달러씩 구매한다. 지에스칼텍스는 올해 1억2천만달러 규모의 원유를 도입하고, 셰일가스를 2019년부터 향후 20년간 매년 2억2천만달러 규모로 수입한다. 엘에스도 전기동 원료인 동정광과 액화석유가스 33억5천만달러 어치를 구매할 예정이다. 한진은 향후 5년간 102억달러에 달하는 보잉항공기 50대를 추가 구매한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