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안산선 급행열차에 시승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두번
수도권 전철 경부선·분당선·과천선·일산선에 급행열차가 대폭 확충돼 출퇴근 시간이 최대 21분 단축될 전망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7일 오전 경기도 안산 오이도역에서 열린 안산선 급행열차 시승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수도권 전철 급행화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서울~천안 구간은 현재 하루 34회인 급행열차를 2020년부터 68회로 두 배 늘릴 계획이다. 수원~죽전 구간만 급행열차를 운행해온 분당선은 2022년 전 구간에 급행 도입될 예정이고, 급행열차가 없었던 과천선과 일산선은 급행열차가 새롭게 운행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지난달 앞서 경인선·경의선·수인선·안산선에 특급 급행열차를 투입해 이동시간을 단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노선들은 추가적인 비용 투자없이 급행열차를 투입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진 노선이다. 반면, 이날 김 장관이 추가로 발표한 4개 노선은 대피선 설치, 시설용량 확충 등 시설 개량이 필요해 시간이 3~5년 가량 소요될 것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내년 상반기부터 대방, 영등포, 금천구청, 안양, 군포, 의왕 등 6개 역에 대피선을 설치하는 공사를 시작해 2020년 완공한다. 분당선은 현재 수원∼죽전 구간에만 다니는 급행열차를 2022년 상반기부터 수원∼왕십리 전 구간에 투입하도록 대피선을 설치한다. 내년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를 하고 2019년 하반기 설계·착공을 거쳐 2022년 상반기 개통 목표다. 일반 열차보다 소요시간이 21분 단축될 전망이다. 현재 급행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과천선과 일산선에도 2022년 하반기부터 급행열차가 다니도록 시설 공사에 나설 예정이다. 과천선은 금정∼사당, 일산선은 대화∼지축 구간에 급행열차가 투입될 예정이다. 급행열차가 투입되면 이들 구간은 일반열차보다 이동시간이 각각 7분씩 단축될 전망이다.
김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 “수도권 통근시간이 평균 1시간36분에 달하는 등 수도권 교통혼잡 문제는 국민의 큰 걱정거리”라면서 “수도권 광역 급행열차를 계속 확대하고, 고속광역급행철도망(GTX) 구축을 차질없이 마무리해 국민에게 고품질의 철도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지티엑스는 수도권 교통혼잡을 개선하기 위해 수도권 외곽지역과 서울 도심 주요거점을 20분대로 연결하는 급행 철도망으로 2025년 개통할 예정이다.
허승 기자
raiso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