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서울 등 기초단체까지 활발
사회적 경제 전담부서도 확대 추세
사회적 경제 전담부서도 확대 추세
사회적 경제에서 ‘중간지원조직’은 민관의 협력을 이어주는 전초기지다. 지역사회 안에서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며, 민간 사회적 경제 주체들의 상호협력을 매개하기도 한다. 사회적 경제 조직 간의 연계, 사회적 경제 생태계 조성, 사회적 경제 조직 지원 등 활동 범위는 다양하다.
사회적 경제 분야의 중간지원조직은 크게 중앙부처인 고용노동부와 지방정부의 지원체계로 나누어진다. 고용노동부는 중앙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을 두고, 16개(대전, 세종 통합) 권역마다 통합지원기관을 선정해 운영하고 있다. 지방정부 주도로 운영하는 중간지원조직도 있다. 서울시(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나 경기도(따복공동체지원센터)처럼 광역단체 단위에서 꾸려진 곳도 있고, 경기 성남시(성남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전북 완주군(완주공동체지원센터) 등 시·군·구 단위에 만들어진 곳도 있다. 광주(5개 자치구 중 5곳), 전남(22개 시·군 중 22곳), 서울(25개 자치구 중 22곳) 지역은 기초단체 단위까지 중간지원조직 활동이 활발하다. 김태인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은 “중간지원조직이 제대로 기능하려면 관이 중간지원조직을 수직적 관계로 여기지 않아야 한다”며 “지역별 맞춤 의제로 특성화·전문화해 다양한 사회적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 일이 과제”라고 말했다.
‘관’인 지방정부 내 사회적 경제 전담조직 구성도 확대되는 추세다. 7월 현재 부산과 울산을 제외한 전국 15개 광역자치단체는 ‘팀’급 이상의 사회적 경제 부서를 운영 중이다. 서울, 경기, 대구, 인천, 경북, 강원 6곳은 팀보다 한 단계 높은 ‘과’급이다. 기초자치단체(시·군·구) 중 사회적 경제 전담부서를 설치한 곳은 36.4%(228개 시·군·구 중 83곳)로 조사됐다.
조창훈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