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그룹, 적정 설비예비율 22%로 확정
6·7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똑같이 설정
“간헐성 대응 위해 백업설비 필요”
6·7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똑같이 설정
“간헐성 대응 위해 백업설비 필요”
정부가 탈원전·탈석탄과 신재생 대폭 확대라는 전력정책 기조 변화를 반영한 8차 기본계획(2017∼2031년)의 전력설비 적정예비율을 지난 6·7차와 마찬가지로 22%(2031년 기준)로 설정했다. 신재생 설비의 전력생산 불확실성에 대비해 설비예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적정예비율을 똑같이 유지해도 전력수급 불안은 없을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예비율 워킹그룹’은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확정해 발표했다. 적정 설비예비율은 지난달 11일 발표된 초안에는 20∼22%였지만, 22%로 확정했다. 해당 예비율은 발전기 고장·정비 등을 고려한 최소예비율 13%, 미래 전력수요 변동과 발전소 건설 지연 등에 대비하는 ‘수급 불확실 대응 예비율’ 9%로 구성됐다.
최소예비율은 6·7차(15%)에 견줘 2%포인트 낮아진 대신 불확실 대응 예비율이 그만큼 높아졌다. 원전·석탄 등 연중 내내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기저발전이 아니라 전력생산이 기후조건에 좌우되는 ‘간헐성’ 전력인 신재생 확대에 따라 최소예비율을 낮추고, 탈원전과 석탄화력 신규 건설 중단 등에 따른 수급 불확실성을 줄이려고 불확실 대응 예비율을 높였다. 워킹그룹의 노재형 건국대 교수는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전원의 간헐성 보완이 필요하다”며 “신재생 발전의 간헐성 대응을 위한 추가적인 설비 예비율을 2%로 산정했다”고 밝혔다.
워킹그룹은 재생에너지 발전의 간헐성에 대응하기 위해 ‘백업(Back up) 설비’가 필요하다고 봤다. 신재생 발전이 바람과 햇빛 등의 상황에 따라 발전량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신속하게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보완책으로 가변속 양수발전기나 가스터빈(G/T) 운전이 가능한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 등을 꼽았다.
이날 워킹그룹 회의 내용이 공개된 것은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1일 “8차 수급계획은 국민과 함께 만드는 계획이다. 관련 모든 일정을 공개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