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최대 전력 수요 전망치가 100.5GW(기가와트)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지난 7월 예상치(101.9GW)보다 1.4GW 줄었고, 2년 전(113.2GW)보다는 12.7GW 낮아진 것이다. 이는 핵발전소(1기당 1.1GW 기준)를 2년 전 예상치보다 약 12기, 지난 7월보다는 약 1기를 줄일 수 있는 수치로 새 정부의 탈원전·석탄 정책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임명한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31년) 수요계획 실무소위원회’는 15일 서울 중구 한국전력 서울지역본부에서 회의를 한 뒤 ‘잠정 결론 수요 전망안’을 발표했다. 소위원회는 “모델로 산출한 기준수요 113.4GW에서 수요관리량 13.2GW를 빼고 전기차 확산에 따른 수요 증가 효과 약 0.3GW를 추가해 수요 전망치가 100.5GW가 됐다”고 밝혔다. 7차 계획에 견줘 수요 전망치가 대폭 줄어든 것은 경제성장률(GDP) 전망치가 7차 계획을 짤 때보다 떨어졌기 때문이다. 한편, 지난 7월 초안 발표 때 한쪽에서는 전기차나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 등을 고려하지 않아 너무 낮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런 지적에도 소위원회는 최대 전력 수요 전망치를 1.4GW 더 낮췄다.
소위원회는 초안보다 줄어든 이유로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0.4GW)을 비롯해 누진제 개편 효과 제외(0.6GW), 수요관리 목표 상향(0.4GW) 등 3가지를 꼽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달 경제성장률을 초안에서 쓴 2.47%보다 0.04%포인트 낮은 2.43%로 내다봤다. 경제성장 전망이 낮아진 만큼 전력 사용량도 더 낮아질 것으로 본 것이다. 아울러 초안 때는 지난해 12월 누진제 완화로 전력 수요가 늘 것으로 봤지만, 이번에는 장기적으로 그 효과가 사라질 것이라고 판단해 제외했다. 여기에 전력 사용이 많은 공장에서 전력 피크 때 일시적으로 사용을 멈춰 배당금을 받는 수요자원(DR)시장 정책의 확대나 에너지저장장치(ESS) 확대 등으로 전력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했다.
반면 전기차로 인한 수요 증가 요인(0.3GW)은 반영했다. 소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이 진전되며 전력 사용량이 늘더라도 전체 에너지 사용은 효율화(감소)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됐다”며 “전기차와 같이 수요 증가가 확실한 요인에 대해서는 전력 수요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