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하반기 경제전망
올해는 3.1%·내년 2.9%
반도체 경기 의존한 회복
고용도 가시적 개선 안돼
올해는 3.1%·내년 2.9%
반도체 경기 의존한 회복
고용도 가시적 개선 안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경기 회복이 반도체 경기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고용 여건도 가시적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내년에도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한국개발연구원은 6일 ‘2017년 하반기 경제전망’ 보고서를 내어,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2.9%로 전망했다. 지난 4월에 내놨던 전망치(2.5%)보다 0.4%포인트 상향 조정한 것이다. 소비자물가는 유가상승 등의 요인이 사라지면서 내년에 1%대 중반의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3.1%로 제시했다. 김현욱 한국개발연구원 거시경제연구부장은 “최근 우리 경제가 제조업을 중심으로 성장률이 개선되고 있지만 경기 개선이 반도체 부문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에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다”며 경기 개선 추세가 견실하다고 평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세계 경제 회복세가 유지됨에 따라 수출 증가율(물량 기준)은 올해 2.4%에서 내년 3.8%로 완만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소비는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등 정책 효과로, 올해 2.4% 증가한 뒤 내년에 2.7%로 증가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올해 14.7%로 예상되는 설비투자 증가율이 내년에는 3.0%로 크게 떨어지고, 건설투자 증가율은 올해 7.2%에서 내년에 0.4%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도체를 제외한 다른 업종의 설비 가동률이 낮은데다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삭감된 탓이다. 내년에 고용 여건은 민간소비 개선에도 불구하고 투자가 둔화되면서 취업자 수 증가폭은 올해(약 32만명)보다 적은 30만명선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예산안에 포함된 일자리 확대 정책 효과로 약 2~3만명이 더 늘어날 것을 반영하더라도, 올해보다 부진할 것이란 관측이다.
이날 김현욱 부장은 “거시경제 측면에서 여러 경제지표를 가지고 판단해볼 때, 기준금리 인상이 아직까지는 이른 판단이 아니었나 생각한다”며 “통화정책 기조를 긴축으로 변화시켜야 할 상황은 아직 오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부장은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및 산업의 구조조정과 경제시스템에 대한 구조개혁 정책을 상시적으로 추진해, 우리 경제의 경쟁력을 확보해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