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19일 정부 지원 항공정비 사업자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선정했다. 연합뉴스
국내 항공정비(MRO)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의 체계적 지원을 받게 될 지정 사업자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최종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민·관 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된 ‘엠아르오 사업계획 평가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항공우주산업을 정부 지원 항공정비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항공정비 사업은 한때 지방도시들이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으나 충북 청주에 사업 기반을 마련하려던 아시아나항공 경영 사정으로 이 사업에서 손을 떼면서 한국항공우주산업과 경남 사천시 컨소시엄만 평가위 심사를 받았다.
정부 평가위원회는 한국항공우주산업이 항공기 제조사로서 엠아르오 사업을 위한 시설 및 장비 보유, 군용기 정비경험과 B737 항공기 개조 경험 등도 있어 민·군 항공기 정비업 경영에 필요한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용지 저리 임대 등 조건도 양호하다고 봤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기준 항공정비 수요는 약 1조9천억원에 이르지만, 이 가운데 48.6%(9400억원)가 해외에 정비를 맡기고 있다. 국토부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적 항공기 정비의 내수전환과 국내 항공정비 산업 육성을 위해 3단계 추진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1단계로 자립기반 확충을 위해 법제 정비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했고, 이번에 2단계로 사업자를 선정해 전략산업으로 키우기 시작한다. 3단계는 해외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내년 8월 한국공항공사, 참여업체 등과 함께 항공정비 전문기업을 신설하고, 11월 국토부로부터 정비조직 인증을 받아 12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 신설되는 항공정비 전문기업에는 자본금 1300여억원 포함, 앞으로 10년간 3500억원이 투자된다. 사천을 시작으로 향후 김포, 인천, 제주 등으로도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부는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제출한 사업계획대로 2026년이면 순이익이 날 것으로 전망하고 10년간 2만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직·간접 고용인원이 5600여명, 기계·판금·부품제조 등 관련 협력업체 고용이 1만4천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수입 대체 1조6800억원, 생산 유발 5조4천억원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경남지역에 전국 항공관련 업체의 63%인 62개 업체가 몰려 있는 등 항공정비 클러스터가 조성될 여건은 양호하다. 경남 서남부지역이 미국 오클라호마나 싱가포르 같은 항공정비 산업 중심지로 성장하면 국가균형발전 촉매제 역할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