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형 K드론 시스템’ 개발 등 드론산업 성장을 위한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한겨레 자료 사진
정부가 드론산업 육성을 위해 5년간 공공 분야에서 35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인프라 구축과 정보기술을 융합을 통한 한국형 '케이-드론'(K-Drone) 시스템 개발에도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2일 오후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이런 내용의 '드론산업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한다고 21일 밝혔다.
국토부는 2026년까지 현재 704억원 규모인 드론 시장을 4조4천억원으로 성장시키고, 기술경쟁력 세계 5위권 진입, 사업용 드론 5만3천대 상용화 등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먼저 국가·공공기관의 다양한 업무에 드론을 활용해 5년간 총 3700여대, 3500억원 규모의 드론 시장을 창출할 계획이다. 공공건설, 도로, 철도 등 시설물 관리과 하천, 해양, 산림 등 자연자원 관리, 긴급 구호품 수송, 사고·재난지역 모니터링 등에 드론을 투입한다.
또 드론의 등록과 이력관리부터 원격 자율·군집비행까지 지원하는 한국형 '케이-드론'(K-Drone) 시스템을 2021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자동관제, 빅데이터, 5지(G) 기반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적용한 첨단 자동관제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구현해 기술표준을 선점하고, 드론 업계의 세계 시장에 진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드론 인프라 구축도 서두르기로 했다. 장거리 드론 비행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150m 이하 저고도 공역 비행을 위한 전용 하늘길을 마련하고 고속 비행 드론을 위해 '드론 하이웨이'(Drone-Highway)도 단계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까지 이착륙장, 통제실, 정비고 등 인프라를 갖춘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을 2곳 조성하고 전남 고흥 지역에는 2020년까지 항공기급 무인기의 성능과 인증 시험을 위한 국가종합비행시험장을 설치한다.
드론 강소기업 육성을 위해 경기도 판교에 설치한 '드론 기업지원 허브'도 적극적으로 육성한다. 국토부는 이곳에서 정보기술·소프트웨어·콘텐츠 등 이종 산업 분야 업체 200여개와 드론 스타트업 20여개 등이 기술 교류 등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국토부는 이번 계획으로 2026년까지 취업유발 효과는 약 17만4천개(제작 1만6천개, 운영 15만8천개), 생산 유발 효과는 21조1천억원(제작 4조2천억원, 운영 16조9천억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