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남녀 85% “결혼은 선택”
‘비혼’ 생각하는 이유는? “자유롭게 살기 위해”
‘비혼’ 유지 위해 필요한 것? “안정된 직장과 고정수입”
‘비혼’ 생각하는 이유는? “자유롭게 살기 위해”
‘비혼’ 유지 위해 필요한 것? “안정된 직장과 고정수입”
“결혼은 선택이다.”
미혼남녀 7명 중 1명은 스스로 ‘비혼주의’라 답했다. 12일 잡코리아와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이 성인남녀 1141명에게 ‘결혼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 같은 답변이 나왔다.
‘비혼’을 생각한다는 답변은 미혼남성보다 미혼여성이 더 높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았다.
‘결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결혼은 선택이다(해도 되고 안 해도 된다)’라고 답한 응답자가 85%로 많았다. 이 답변은 여성(92.9%) 응답자가 남성(72.8%)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 86.7%, 30대 83.5%, 40대 이상 84.1% 였다. 남성보다 여성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결혼은 해도 되고 안 해도 된다”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실제 미혼인 남녀 1016명을 대상으로 ‘앞으로의 결혼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앞으로 결혼할 것’이라는 답변은 33.3%로 10명 중 3명에 그쳤다. 반면 ‘결혼하지 않을 것(비혼)’이라는 응답자는 15%로 7명 중 1명 정도로 조사됐고, ‘현재는 비혼을 생각하지만, 미래에는 바뀔 수 있다’(미정)고 답한 응답자가 51.7%로 과반수에 달했다.
미혼남녀가 결혼보다 ‘비혼’을 생각하는 이유는 뭘까?
과반수(68.3%·복수응답)이상의 응답자가 ‘일과 개인 생활 모두 자유롭게 살고 싶기 때문’이라 답했다. 이 답변은 미혼 남성(69.2%)과 미혼 여성(67.9%) 모두에게 가장 높았다.
미혼남성은 ‘결혼하면 생활비가 늘어날 텐데, 경제적으로 넉넉하게 살고 싶기 때문에(47.5%)’를 두 번째 이유로 꼽았다. 이어 결혼 후에는 나를 위해 시간·비용을 투자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39.9%), 자녀를 낳고 기르는 것이 부담스러워서(35.9%), 현재 생활에 익숙하고 만족해서(30.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미혼여성은 ‘결혼 후에는 나를 위해 시간·비용을 투자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46.5%)‘라는 이유를 두 번째로 꼽았다. 또 자녀를 낳고 기르는 것에 대한 부담(38.1%), 결혼 후 집안 대소사에 참여해야 하는 등 할 일이 많아지는 것이 싫어서(38.1%), 현재 생활에 익숙하고 만족해서(27.9%) 순이었다.
미혼 남녀 10명 중 8명은 비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 1위로 ‘안정된 직장과 고정적인 수입’(86.7%·복수응답)을 꼽았다. 이어 ‘생활을 풍요롭게 할 취미생활’과 ‘철저한 건강관리’가 각각 60.2%, 54.0%로 높았다. ‘특별한 날 함께 할 마음 맞는 동성·이성 친구’가 필요하다는 답변도 42.6%로 높았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