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항공여객이 1억1753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 7.5% 증가한 수치다.
27일 국토교통부의 항공여객 집계를 보면, 2018년 국제선 여객은 8593만명으로 전년보다 11.7% 증가했고 국내선 여객은 3160만명으로 2.5% 감소했다.
국제선에서는 중국(15.6%)을 비롯해 유럽(12.9%), 일본(12.1%), 동남아(12.0%) 등 노선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중국 노선 여객은 10611만명으로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논란' 전인 2016년보다는 18.9% 줄어든 규모지만, 2017년과 견주면 15.6% 증가해 회복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 보면 전체 국제선 여객 중 39.3%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FSC)가, 29.2%는 저비용항공사(LCC)가, 나머지 31.5%는 외국 항공사가 수송했다. LCC 분담률은 2014년 11.5%, 2015년 14.6%, 2016년 19.6%, 2017년 26.4%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올해는 30% 돌파가 확실시된다.
국내선 여객은 제주(-2.5%), 내륙(-2.3%) 여객 모두 감소하면서 2011년 이후 처음 하락했다.
국내선 운항의 86%를 차지하는 제주 노선은 대형항공사 여객 감소(-6.4%)와 제주 관광객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 내륙 노선은 김포∼김해(-4.6%), 김포∼제주(-3.7%), 김포∼여수(-10.8%) 등 여객 감소가 두드러졌다.
항공화물은 444만t으로 전년보다 2.8% 증가하며 최대실적을 달성했다. 중국·일본·기타 지역에서 반도체, 기계, 석유제품 등의 물동량 증가와 여객 증가에 따른 수하물 증가에 힘입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제유가 급등락, 사드 제재 영향 등에도 불구하고 LCC의 항공노선 다변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등으로 항공여객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며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1인 여행 증가, LCC 중거리 노선 확대 등을 통해 내년 항공여객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