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을 지난해보다 축소·중단하거나 아예 채용계획을 못 세운 것으로 조사됐다. 문재인 정부가 대기업에 고용 확대를 적극 요청하고 있으나 효과가 없는 셈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원장 권태신)은 13일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해 발표했다.
응답기업 126개 중 ‘지난해보다 채용을 줄이겠다’는 응답(12.8%)과, ‘한명도 뽑지 않겠다’는 응답(7.1%)를 합치면 19.9%였다. 1년 전 조사 때는 ‘채용 감소’(9.3%)와 ‘계획 없음’(2.7%)을 합치면 12%였다. ‘아직 채용계획을 못세웠다’는 응답도 46%로, 1년 전 44%보다 증가했다. 채용계획을 못세운 기업의 상당수는 채용을 줄이거나 아예 안 뽑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리겠다’는 응답(7.1%)과, ‘비슷하게 뽑겠다’는 응답(27%)을 합치면 34.1%다. 이는 1년 전 조사 때의 ‘채용 증가’(8.8%)와 ‘비슷’(35.2%)을 합친 44%에 크게 미달한다.
대기업의 신규채용 축소로 올해 취업난은 지난해보다 더 심해질 전망이다. 이는 올해 경제 성장률과 수출 증가세 둔화 등 경영환경 악화 요인 탓도 크지만, 문재인 정부의 대기업 고용 확대 요청이 효과가 없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실제 대기업들은 신규채용을 결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 적정 정원(T/O)(56.3%), 인건비(17.9%), 국내외 경기(20.5%)를 우선적으로 꼽았고, 정부시책 호응(4.2%)은 거의 무시됐다. 또 신규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이유(중복 응답)로는 ‘내부 상황 어려움’(30.7%), ‘국내외 경제 및 업종 상황 악화’(22.7%),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증가’(20.5%) 등 주로 회사 경영과 국내외 경제 상황 악화가 꼽혔다.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은 3903만원(월 325만원)으로 조사됐다. 신규채용시 중요하게 평가하는 항목(중복 응답)은 ‘지원하는 직무에 대한 이해’(65.1%)가 가장 많고. 다음은 ‘전공 역량’(40.5%), ‘일반 직무 역량’(36.5%), ‘지원 기업에 대한 이해’(23.8%), ‘지원분야 현장실습 경험’(11.9%), ‘외국어 능력’(9.5%), ‘전공 관련 자격증’(8.7%)의 순서였다. 채용 방법(중복 응답)은 서류전형(98.4%)이 가장 많고, 다음은 임원면접(92.9%), 실무면접(90.5%), 건강검진(72.2%), 필기시험(57.9%) 순서였다. 신규채용 직원 중 이공계 비중은 57.5%, 여성 비중은 27.1%, 해외대학 졸업자 비중은 6.5%로 각각 전망됐다.
올해 채용시장 트렌드로는 ‘경력직 채용 증가’(55.6%)가 가장 많이 꼽혔고, 다음은 ‘대졸신입 수시채용 비중 증가’(50.8%), ‘블라인드 채용 확산’(25.4%), ‘정규직 전환형 인턴제 도입 증가’(22.2%), ‘인공지능 활용’(16.7%) 순서였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