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대외여건과 수출이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추가경정예산(추경) 등 경기 보강 대책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어 “글로벌 경기 하강이 국내 경기에 본격적인 영향을 미치기 전에, 보다 높은 경각심을 갖고 추경 편성 등 국내 경기 보강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올해 세계 경제의 70%가 둔화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세계무역기구(WTO)가 세계교역 증가율을 연초 전망(3.7%)을 2.6%로 하향 조정한 사례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세계 경기 하락 우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올해 수출은 ‘상저하고’의 모습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나아질 것으로 예상되나, 당분간 녹록지 않은 상황이 계속될 전망”이라며 “최근 4개월 연속 감소한 수출 회복을 위해 모든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특히 조선·자동차·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의 혁신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수출 회복을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했다. 앞서 지난 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케이디아이 경제동향 4월호’에서 수출 감소 등 영향 탓에 경기가 ‘둔화’에서 ‘부진’으로 더 나빠졌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9일 밤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놓을 한국의 경제성장률 수정 전망치도 주목된다.
홍 부총리는 대외 리스크와 관련해선 “금융 리스크는 지난해보다 완화됐지만, 실물경기 리스크가 부각되고 미-중 갈등, 브렉시트 등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다. 국내 경제·금융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또 5~6월께 70여개국이 모여 전자상거래 통상규범을 마련하는 ‘세계무역기구 전자상거래 협상’에 정부가 참여한다고 밝혔다. 그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해 디지털 통상 및 국경 간 데이터 이동이 급증하나, 이를 규율할 디지털 통상규범은 미비하다”며 “국회에 계류 중인 데이터 경제 활성화 3법(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개정안) 입법 추진을 계기로 디지털 통상규범 정립을 위한 국제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우리 기업이 선도하는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