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를 넘지 못하는 저물가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정부는 기후 등 외부 요인과 정부의 공공서비스 확대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으로, 경기 침체 현상인 디플레이션은 아니라고 밝혔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56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6%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 물가상승률은 지난 1월 0.8%를 기록한 이후 7개월 연속 1% 아래에 머물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했다. 특히 채소류는 양파, 감자, 마늘 등 생산량 증가로 6.4% 하락했다. 공업제품은 지난해와 동일했다. 세부적으로는 가공식품이 2.1% 올랐으나 휘발유·경유 등 석유류 가격이 5.9% 하락한 영향으로 보합을 나타냈다.
전기·수도·가스는 지난해보다 2% 올랐다. 서비스물가를 보면, 집세 0.2%, 공공서비스 0.1% 하락했지만 외식 등 개인서비스가 1.9% 올라, 전체 서비스물가는 1% 상승했다.
통계청은 저물가 현상을 ‘디스인플레이션’으로 판단했다. 디스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초과 수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조정을 의미한다. 이두원 물가동향과장은 “농산물 가격 하락은 기후 요인이 크고 석유류 가격은 최근 유류세 인하 정책 등 영향을 받았다”면서 “최근 저물가 현상은 외부 요인과 정부의 공공서비스 확대 정책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디스인플레이션으로 생각된다. 총체적 수요 감소로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으로 보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