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가 6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관계기관 합동점검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6일 금융·외환시장 불안과 관련해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이미 준비된 비상계획에 따라 상황별 시장 안정 조처를 신속하고 과감하게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방 차관보는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연 관계기관 합동점검반 회의에서 이렇게 “최근 금융·외환시장의 불확실성에 정부가 엄중한 상황인식을 갖고 있다. 과도한 시장불안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방 차관보는 전날 금융시장 요동에 관해 “미-중 무역갈등 재고조 및 위안화의 급격한 약세, 일본의 수출규제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도 대내외 위험 요인 전개에 따라 국내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국내 경제 건전성이 과거보다 개선된 만큼 상황을 차분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과도한 반응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외화보유액과 순대외채권이 사상 최고 수준인 4천억불 이상을 유지하고 있고, 국제 신용평가사나 해외투자자들도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과 대외·재정 건전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외국인 증권자금도 지속해서 유입되고 있으며 외화자금 조달도 원활하다”고 강조했다. 방 차관보는 “정부는 경기 활성화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해 피해기업 지원과 산업경쟁력 강화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회정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은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전날 외환시장은 원화가 위안화에 과도하게 동조한 면이 있으며, 시장 상황과 맞지 않는 부적절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김 차관보는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과 관련해 “한국과 중국은 다르다. 미국은 지난 환율보고서에서도 이미 중국의 환율정책에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은 당시 보고서에 (환율조작국)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나와있기 때문에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김 차관보는 또 원화 약세의 과도한 수준을 어느 정도로 보는지 묻는 말에 “레벨을 타깃하지는 않는다. 시장상황을 면밀히 분석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조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