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가 7일 발표한 ‘2019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1인이상 가구 근로소득 분석’ 자료
1인 가구를 포함한 소득 하위 20% 가구의 1분기 근로소득이 지난해보다 소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가 통계청의 ‘2019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원자료(1인 이상 가구)를 분석한 결과, 지난 1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10만7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만9천원)보다 7.7% 증가했다. 사업소득이나 정부 지원금 등 다른 항목을 포함한 전체소득도 지난해 65만2천원에서 올해 65만8천원으로 0.8% 늘었다.
앞서 통계청이 지난 5월 공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는 2인 이상 가구만 포함된 자료로, 이에 따르면 소득 하위 20% 가구의 근로소득이 14.5% 줄고 전체소득도 2.5% 감소했다. 당시 집계에 제외됐던 1인 가구를 포함해 다시 계산하니 근로소득과 전체소득이 소폭 오른 결과가 나온 것이다. 소득주도성장특위는 “최저임금 인상, 노인 일자리 재정사업, 청년 일자리 정책 등 영향으로 저소득층 근로소득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일자리 사업 등 영향으로 소득 하위 20% 가구 가운데 근로소득이 있는 가구의 비중이 지난해 1분기 23.8%에서 올해 1분기 27.6%로 3.8%포인트 늘었다.
저소득층 근로소득이 소폭 오르긴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급속한 고령화로 감소하는 추세다. 1분기 기준으로 소득 하위 20% 가구의 근로소득은 2011년 20만원에서 올해 10만7천원으로, 8년 만에 약 절반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마저도 2017년 15만4천원에서 지난해 9만9천원으로 급격히 떨어졌다가 올해 소폭 반등한 수치다.
소득주도성장특위 분석 결과,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 가운데 ‘가구주가 65살 이상’인 가구의 비중은 66.2%인데 이들 가구의 근로소득은 이 계층 평균 근로소득의 43.5%에 불과했다. 결국 고령화로 노인 가구주 비중이 증가하는 게 저소득층 근로소득 감소의 원인인 셈이다.
소득주도성장특위는 “소득주도성장의 선순환 확산을 위해 정책 기조를 유지하되, 임시 일용직 근로자와 영세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 지원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며 “근로장려세제 확대, 한국형 실업부조 도입, 기초생활보장제도 개선 등 사회안전망 강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