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급속한 고령화로 2045년에 세계에서 65살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가 된다. 2067년엔 노인 인구 비중이 46.5%에 이른다. 한국과 북한의 인구를 합하면 고령화 속도가 다소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장래인구 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을 보면, 한국의 노인 비중은 올해 14.9%에서 2045년 37%로 늘어난다. 이때부터 유엔의 인구 전망 비교 대상인 201개 국가 중 노인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된다. 고령화는 계속 빠르게 진행해 2067년엔 노인 비중이 46.5%까지 치솟는다. 201개 나라 가운데 2067년 노인 인구 비중이 40%를 넘는 것으로 전망되는 나라는 없다. 한국 다음으로 노인 인구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나라는 대만(38.2%), 일본(38.1%) 정도다. 전 세계 노인 인구 비중은 올해 9.1%에서 2067년 18.6%가 된다.
한국의 생산연령인구(15~64살)는 2012년 73.4%로 정점을 찍었다가 올해 72.7%로 소폭 줄었다. 하지만 이후 가파르게 떨어지며 2040년 56.3%, 2067년엔 45.4%까지 떨어진다.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65살 이상 노인(노년부양비)은 2019년 20.4명에서 2067년 102.4명으로 5배 늘어날 전망이다. 같은 기간 세계의 노년부양비는 2019년 14.0명에서 2067년 30.2명으로 증가한다.
우리나라의 중위연령(총인구를 나이 순서로 나열할 때 가운데 있는 사람의 연령)은 2020년 43.7살이지만 2065년엔 62.2살로 오른다. 세계 평균(38.2살), 유럽(47.2살)보다 월등히 높게 된다.
한국과 북한 인구를 합할 경우 고령화 속도는 다소 늦어진다. 올해 한국과 북한을 합한 총인구는 7737만5천명이다. 2067년엔 6482만명으로 16%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올해 5170만9천명에서 2067년 3929만4천명으로 24% 줄지만, 북한이 올해 2566만6천명에서 2067년 2552만6천명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생산연령인구(15~64살) 비중을 비교하면, 올해 한국(72.7%)은 북한(70.7%)보다 약간 높다. 하지만 2067년에는 한국은 45.4%로 27.3%포인트 줄고, 북한은 60.6%로 10.1%포인트 감소한다. 남북한 통합 생산연령인구는 2067년 한국에 비해 6%포인트 높은 51.4%가 된다.
65살 이상 노인 인구 비율도 한국은 14.9%(2019년)에서 46.5%(2067년)로 31.6%포인트 오르지만, 북한은 9.3%에서 23.6%로 14.3%포인트 증가한다. 남북한 인구를 합한 고령 인구 비율은 2067년 37.5%로, 한국보다 9%포인트 낮아지게 된다.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는 아이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2015~2020년 평균 한국이 1.11명, 북한이 1.91명으로 0.8명 높다. 반면 기대수명은 북한이 72살로 한국의 82.5살에 비해 10.5살 낮다.
한편 세계 인구는 올해 77억1천만명에서 계속 증가해 2067년 103억8천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대륙별로는 아프리카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다. 올해 세계 인구의 17%에 해당하는 13억1천만명에서 2067년엔 30.7%에 이르는 31억9천만명이 될 전망이다. 세계 인구의 59.7%를 차지하는 아시아 인구는 46억명에서 2067년 52억4천만명으로 늘어 전체 50.5%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유럽 인구는 올해 7억5천만명(9.7%)에서 2067년 6억7천만명(6.5%)으로 인구가 줄어들 전망이다.
현재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는 세계 인구의 18.6%를 차지하는 중국(14억3천만명)이고, 2위가 인도(13억7천만명)다. 2067년에는 순위가 뒤바뀌어 인도가 16억4천만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중국이 12억8천만명으로 2위를 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