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기준으로 1인당 개인소득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골 1위였던 울산은 지역 경제 부진 영향에 2위로 내려갔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역소득통계 2015년 기준 개편 결과’를 보면, 2017년 1인당 개인소득은 서울이 2223만7천원으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울산으로 2195만6천원이었다. 울산은 2010년 통계 작성 이후 2015년을 제외하고 줄곧 1위를 차지했지만 조선업 불황 영향으로 1위 자리를 내줬다. 3위는 세종으로 2140만4천원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그동안 ‘충남’으로 분류돼 별도 집계를 하지 않았지만, 통계청이 이번에 자료를 업데이트하면서 세종을 따로 분리했다. 그랬더니 2015년엔 서울·울산을 제치고 1인당 개인소득이 가장 높았고, 2016년과 2017년엔 3위를 기록했다.
개인소득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전남(1704만3천원)이었고, 전북(1705만9천원), 경북(1742만8천원) 순이었다. 1인당 개인소득은 가계 및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의 처분가능소득을 뜻하며,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낸다.
2017년 지역내총생산(GRDP)은 1840조3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96조8천억원(5.6%) 증가했다. 경기가 451조4천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404조1천억원), 충남(115조6천억원)이 뒤를 이었다. 생산이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10조6천억원)이었다. 제주(20조2천억원), 광주(37조7천억원) 순이었다. 지역별 경제성장률은 경기가 6.6%로 가장 높았고, 충북(6.1%)과 충남(5.4%)이 뒤를 이었다. 반면 경북은 1.2% 하락했고, 경남과 울산도 각각 0.7% 내렸다.
지역내총생산을 거주인구로 나눈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울산이 6537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2위인 서울(4137만원)과 차이가 크게 났다. 심상욱 통계청 소득통계과장은 “2017년 울산의 선박 산업이 굉장히 부진했지만 생산 규모 자체가 거주인구에 비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심 과장은 “다만 거주인구가 반드시 노동하는 인구라고 할 수 없다. 다른 지역 사람이 울산에서 취업하거나 타 지역에서 자본을 제공해 울산에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1인당 노동생산성이나 자본생산성과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1인당 민간소비는 서울이 2019만7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울산 1794만6천원, 부산 1717만6천원 순이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