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월째 감소 행진을 하던 수출이 9월 들어 상승세로 출발했다. 스마트폰 등 일부 품목의 수출이 ‘반짝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전반적인 수출 여건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어서 9월 전체 수출 증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11일 관세청이 발표한 9월 1~10일 수출입 현황을 보면, 이 기간 수출은 15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10억1천만 달러) 증가했다. 수입은 141억 달러로, 3.3%(4억5천만 달러) 늘었다. 다만 조업일수를 반영한 일평균 수출액은 지난해와 동일한 20억 달러였다.
수출 품목별 실적을 보면, 스마트폰이 포함된 무선통신기기가 105.6%로 크게 올랐고, 가전제품 50.5%, 승용차 20.7% 등도 선전했다. 반도체는 33.3% 감소했고 액정디바이스도 56.1% 줄었다. 수출국별로는 미국(19.2%), 베트남(21.7%), 유럽연합(36.9%), 일본(15.2%) 등은 증가했고, 중국(-14.5%), 홍콩(-42.7%), 대만(-32%) 등은 감소했다.
수입 현황을 품목별로 보면 승용차가 126.2%로 크게 늘었고, 석유제품(-29.5%) 등은 감소했다. 나라별로는 중국(9.8%), 미국(34.6%), 일본(4.2%), 베트남(39.6%) 등에서 수입이 늘었고, 중동(-13.9%), 호주(-17.9%) 등은 감소했다.
반도체 부진과 세계 교역 둔화로 우리 수출은 지난해 12월부터 8월까지 9개월 연속 감소해왔다. 정부는 전반적인 수출 증가 추세로 전환하는 것인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추석 연휴(12~15일)를 앞두고 업계에서 조업을 미리 해놓은 게 실적에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며 “아직 수출 회복 요인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아 (9월 전체 증가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