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고령화로 2047년엔 65살 이상 홀몸 노인이 전체 1인 가구의 절반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구 구성원 수도 점점 줄어 2047년엔 열 집 중 일곱 집이 1~2인 가구가 된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2047 장래가구 특별추계’를 보면, 총가구 수는 2017년 1957만1천 가구에서 늘어나다 2040년 2265만1천 가구까지 증가한 뒤 2041년부터 감소한다. 평균 가구원 수도 2017년 2.48명에서 2047년 2.03명으로 줄어든다. 가구주를 나이순으로 나열했을 때 한가운데 있는 중위연령은 2017년 51.6살에서 2047년 64.8살로 13.2살 높아질 전망이다.
장래인구 특별추계에 따라 총인구가 감소하는 시점은 2029년으로 예상되지만, 가구 수는 1인 가구 증가 영향으로 계속 늘어나다 12년 뒤인 2041년부터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는 2017년부터 30년간 연평균 9만1천 가구씩 늘어난다. 2017년 1인 가구는 558만3천 가구로, 전체의 28.5%였다. 2047년엔 832만 가구로 늘어나 37.3%를 차지할 전망이다. 부부 2명만 사는 가구도 같은 기간 연평균 5만7천 가구씩 늘어, 2017년 309만 가구(15.8%)에서 2047년 479만4천 가구(21.5%)로 증가한다.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 보면, 1~2인 가구 비중이 2017년 55.2%에서 2047년 72.3%까지 늘어난다.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는 2017년 615만 가구(31.4%)로 1인 가구 비중(28.5%)보다 높았지만, 연평균 8만4천 가구씩 줄어들면서 2047년엔 363만8천 가구(16.3%)로 감소할 전망이다.
1인 가구 가운데서는 고령자 가구 비중이 빠르게 증가한다. 1인 가구 가운데 65살 이상 인구 비중은 2017년 24.1%(134만7천 가구)에서 2047년 48.7%(405만1천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의 맏형 격인 1955년생이 65살이 되는 내년부터 고령자 가구 증가속도가 가팔라진다.
정년이 되는 60살 이상으로 범위를 넓혀보면, 1인 가구 중 60살 이상 비중은 2017년 32%(178만5천 가구)에서, 2037년 50.3%(406만4천 가구)로 절반을 넘어서고, 2047년엔 56.8%(472만9천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1인 가구 비중을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2037년 기준 한국은 35.7%로 일본(39%)보다 소폭 낮다. 반면 캐나다(30.2%, 2036년), 영국(33.1%, 2041년), 호주(26.5%, 2037년)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전체 연령대에서 미혼 인구가 증가하는 영향으로 1인 가구가 늘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령 1인 가구 증가는 고령 인구 증가와 함께 황혼 이혼이나 사별 인구가 늘면서 가구가 분화하는 게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