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늘었다. 산업활동의 3대 지표가 동시에 증가한 것은 지난 3월 이후 5개월 만이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5% 증가했다. 7월 1.5% 증가에 이어 두 달 연속 늘어났다. 광공업 생산은 1.4% 감소했으나 서비스업 생산이 1.2% 늘었다. 광공업 생산에선 통신·방송장비(53.2%)가 휴대폰 신제품 출시 영향으로 크게 늘었지만, 자동차(-4.6%) 등은 감소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보다 1.7% 줄었으나, 전년 같은 달에 비해선 5.6% 늘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전월보다 1%포인트 하락한 73.8%였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2.4%), 숙박·음식점(2%), 금융·보험(1.5%)을 중심으로 늘었다. 교육(-1.6%),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1.4%) 등에서는 감소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보다 3.9% 증가했다. 2011년 1월(5.0%) 이후 8년 7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소매판매가 증가로 돌아선 것은 3개월 만이다. 승용차가 10.3% 느는 등 통신기기·컴퓨터, 가전제품 등 내구재 판매가 8.3% 증가했다. 승용차 증가 폭은 2016년 3월(11.0%) 이후 최대였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도 3.0% 증가했다. 통계청은 신차 출시와 수입차 인증 지연 문제 해소로 승용차 판매가 늘어난 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9월 이른 추석 때문에 명절 선물세트 수요 등이 늘면서 소매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1.7%), 운송장비(2.1%) 투자가 모두 늘어 전월보다 1.9% 증가했다. 기계 수주는 공공 및 민간 수주가 모두 늘어 전월보다 7.8% 증가했다.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을 금액으로 나타내는 건설기성은 토목 공사 실적 증가(6.6%) 영향으로 전월보다 0.3% 늘었다. 특히 플랜트, 전기공사 부문 실적이 늘어났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일본 수출규제 이후에도 일부 재고 확보 등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는다. 구체적인 피해 여부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생산·소비·투자 지표의 동반 상승에도 불구하고 동행·선행지수는 서로 엇갈리는 바람에 향후 경기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99.5)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5월 이후 3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반면 가까운 미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98.3)는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져, 5월부터 4개월째 하락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내수·수출이 지속적으로 생산 증가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재정 집행을 가속화하고 경제활력 제고 노력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