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12.23 15:58
수정 : 2019.12.24 02:30
303만㎡…남산-한강축 연결 효과
용산공원조성추진위, 총리급 격상
미군이 빠져나간 자리에 조성되는 서울 용산공원이 당초 계획보다 25% 확장된 약 303만㎡(92만평) 규모로 조성된다. 23일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는 국무총리실 소속으로 격상된 뒤 첫 회의를 열고 공원 구역 확대와 실행계획 공론화 일정 등을 논의했다.
위원회는 이날 국립중앙박물관(29만5천㎡), 전쟁기념관(11만6천㎡), 용산가족공원(7만6천㎡)뿐만 아니라 국방부 소유였던 옛 방위사업청(7만3천㎡)과 군인아파트 부지(4만4천㎡)까지 용산공원 구역에 편입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공원구역이 243만㎡에서 303만㎡로 늘어났다. 옛 미군 기지 북단에 위치한 방위사업청과 군인아파트 부지가 용산공원 구역에 포함되면 남산과 한강 녹지 축이 용산공원을 통해 연결된다.
건물 신축 등 개발 요소를 배제하고 생태·역사공원으로 조성되는 용산공원은 공론화 작업을 통해 실행계획이 확정된다. 현재 기본설계 수준에 머물러있는 용산공원 조성 계획은 내년 상반기 조경·환경·건축·역사 등 분야별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보완된다. 내년 하반기에는 대국민 토론회를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하며 2021년 6월엔 국민참여단의 공론조사 방식으로 실행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내년 안에 용산기지 내 시설물 점검을 통해 존치 여부도 결정한다. 내년 상반기에 시설물 전체 기본조사를 마친 뒤 정밀안전진단을 거쳐 존치가 필요한 주요 시설물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는 용산공원 조성완료 시점을 2027년으로 잡았지만 미국과의 지질·환경조사 및 비용분담 논의 과정도 남아있어 실제 완공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공동위원장인 이낙연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용산기지는 1904년 이래 한 세기가 넘는 동안 일본군, 북한군, 미군이 주둔했던 곳으로 굴곡의 현대사를 가장 통렬하게 상징하는 현장”이라며 “민족의 비극적 역사를 기억하되 그것을 딛고 미래를 꿈꾸는 공간으로 변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 공동위원장인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도 “100여년간 금단의 땅을 도심 속에 재생시키는 건 세계 역사상 없는 일로 세계 건축·도시계획 관계자들이 주목하고 있다”며 “역사에 남을 멋진 공간을 만들어가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