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 위생용품 판매대에 마스크 품절 안내문이 설치되어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으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보건용 마스크 공급을 늘리기 위해 수출을 제한하고 공적 판매처를 통해 물량을 공급하기로 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마스크 수급 안정 추가조처 태스크포스 회의’를 열고, 마스크 및 손 소독제 긴급수급조정조처 개정안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수출제한조처’와 ‘공적 물량 확보’ 두 가지다. 수출은 생산업자만 할 수 있으며, 규모는 당일 생산량의 10% 이내로 한정된다. 또 마스크 당일 생산량의 50% 이상을 공적 판매처에 출고하도록 의무화한다.
김 차관은 “이번 조처로 1일 마스크 생산량 1200만장의 90%가 국내 시장에 공급되고, 생산량의 50%가 농협, 우체국, 약국, 편의점 등을 통해 판매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적으로 확보된 물량은 코로나19 발병이 집중된 대구·경북 지역과, 저소득층 등 마스크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곳부터 집중적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공적 판매처를 통해 공급되는 마스크 가격은 생산자와 판매처 간 협의를 통해 최대한 합리적인 수준에서 결정된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많은 사람이 마스크를 구매할 수 있도록 1인당 판매 수량을 제한할 예정이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