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23일 서울 서초구 잠원동 주택가에서 한 할머니가 폐지를 수집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
지난 2018년 고소득층의 소득 증가는 둔화하고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소득에서 고소득층의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도 줄면서 소득 격차도 완화됐다.
26일 김정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2018년도 통합소득 천분위’ 자료를 보면, 상위 10% 구간에 속한 이들의 통합소득은 17조6484억원으로, 전년보다 5.5% 늘었다. 이 계층의 2017년 소득 증가율은 6.2%였는데 증가속도가 다소 둔화한 것이다. ‘상위 10% 구간’은 100명을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10위에 해당하는 이들을 말한다. 통합소득은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사업·금융·임대소득 등)을 합친 것으로, 근로소득자와 자영업자 등 개인의 전체 소득이다.
소득 증가율은 중산층과 저소득층으로 갈수록 크게 올랐다. 소득 상위 50% 구간(100명 중 50위)에 속한 이들의 통합소득(5조6037억원) 증가율은 8.3%로, 2017년(7.5%)보다 0.8%포인트 올랐다. 소득 하위 30% 구간(100명 중 70위)에 속한 이들의 통합소득(3조3046억원) 증가율도 10.2%로 전년 증가율(8%)보다 2.2%포인트나 증가했다.
1인당 통합소득으로 환산해보면, 상위 10% 구간에 속하는 사람들의 1인당 통합소득은 7592만원으로, 전년보다 2% 늘었다. 소득 하위 30% 구간의 1인당 통합소득은 1422만원으로 전년보다 6.6% 증가했다. 상위 10%의 증가율(2%)의 세 배가 넘는다.
소득 최상위층인 상위 0.1% 구간(1000명 중 1위)에 속한 이들의 통합소득이 전체 통합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5%, 2017년(4.29%)보다 소폭 낮아졌다. 이 구간의 1인당 통합소득은 14억7132만원으로, 중위소득(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가운데에 해당하는 소득) 구간에 속한 이들의 1인당 통합소득(2411만원)의 61배였다. 2017년 64.1배에 비해 약간 줄었다.
김정우 의원은 “정부의 포용성장 정책의 성과가 반영된 것으로 저소득층 소득 보전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